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817년, 스웨덴의 화학자 아르프베드손은 새로운 원소를 발견했다. 이 원소는 물속에 집어넣으면 부글부글 끓어오르다가 폭발하는 독특한 성질을 갖고 있었 ... 대응해야 한다”며 “소재, 화학 분야 기초연구를 통해 희소금속을 대체하는 신
물질
개발 역시 게을리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그 중력권을 벗어나지 못한다.질량이 작은 별은 백색 왜성으로 종말을 맞는다. 이때는
물질
의 전자 축퇴압이 중력을 버틸 수 있다. 그런데 질량이 얼마나 커야 전자의 축퇴압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게 될까. 찬드라세카가 유학을 떠나는 배 위에서 계산한 값이 바로 이것이다. 답은 태양질량의 약 1.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자연·사회 현상을 해석하는 도구로 많이 쓰인다.과학에서 세균의 증식과 방사능
물질
의 반감기는 거듭제곱 형태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기 때문에 계산할 때 로그함수가 쓰인다. 또 경제학에서 인구 증가와 같은 현상도 로그함수로 해석할 수 있다. 거듭제곱을 함수로 확장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고체로 된 구동부가 없는 ‘켐봇’을 고안하기도 했다. 켐봇은 전기가 흐르면 수축하는
물질
인 유전탄성체를 이용해 만든 로봇으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모양을 바꿀 수 있다.게임처럼 변한 전쟁로봇의 활약이 커지면서 전쟁의 양상도 바뀌었다. 가장 큰 변화는 병사들이 직접 전장에 가지 않고도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연기처럼 오롯이 솟아 있다. 황도광은 46억 년 전 원시 태양계의 먼지원반을 이루던
물질
가운데 지금까지 살아남은 먼지티끌이다. 황도면에 놓인 먼지티끌이 햇빛을 산란하면서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아스라이 흩뿌려진 저 먼지들의 일부가 지구와행성들을 만드는데 한 몫 했을 터이다. 태양계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용해 대표적인 화합물반도체 중 하나인 질화인듐갈륨을 성장시켰다.
물질
내 인듐과 갈륨의 상대적 비율을 조절해 자색, 청색 및 녹색의 발광파장을 갖는 고품위의 질화물반도체 에피층을 성장시켜 LED소자를 제작하는 연구를 했다.LED소자를 제작할 때 질화인듐갈륨층과 질화갈륨층을 수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뜨겁게 달궈진 물체가 빛을 내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형광등은 자외선이 형광
물질
을 통과하며 가시광선으로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반해 LED는 반도체 재료에 전기 에너지를 가했을 때 생성되는 전자-정공 쌍이 소멸하면서 원래의 전기에너지 대신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성질을 ... ...
광합성을 알면 친환경 에너지도 OK!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햇빛으로 물 분자를 분해해 포도당이라는 에너지
물질
을 만들어요. 이 ‘광합성’ 과정을 응용해 물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답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앤젤라 벨처 교수와 남윤성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빛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찾아 냈어요.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항생제는 미생물이 만드는 화학
물질
로 된 약제인데, 세균 같은 다른 미생물이 성장하는 걸 막거나 아예 죽이죠. 슈퍼박테리아는 기존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무서운 세균이에요. 이를 물리치는 방법을 꼭 찾고 싶어요.앞으로 또 어떤 것을 연구할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무해하고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우리는 앞으로 매운 맛을 내는
물질
도 개발할 예정이다. 고추장과 고춧가루, 김치가 절대 빠질 수 없는 한국 식품에서 매운 맛은 단연 중요하다. 그런데 매운 맛은 기본 맛으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 자극으로 인해 톡 쏘는 느낌은 세포에게 통증으로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