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하오. 자신감이 굉장한데 내가 제안을 하나 해도 되겠소? 내가 미국의 곳곳을 관광시켜
줄
테니 함께 여행하며 퍼즐 대결을 벌이는 게 어떻소? 여행이 끝날 때 최종으로 승자를 가려 소원을 하나 들어 주기로 하면 좋을 거 같은데….”“나야 나쁠 거 없죠. 이 정도 수준이라면 내가 굳이 나서지 ... ...
아시아의 핫 아이콘 f(x)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좋아해요. 매력적인 목소리의 노래를 들으면 감동이 느껴져요. 저도 여러분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가수가 되고 싶습니다.-루나: 가장 존경하는 가수는 자넷 잭슨이에요.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최고의 무대를 선보이는 모습이 정말 멋있고 대단하게 느껴져요.-설리: 제가 가장 좋아하는 가수는 ... ...
3Q로봇블록과 함께 생체모방 배워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3Q로봇블록제조사 케이블록가격 초급 3만 3000원, 중급 3만 6000원,고급 미정(2010년 출시 예정)1980~90년대 영화나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로봇이 적들을 무찌르기 위해 ... 없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친구들과 함께‘오르미’를 만들어 누가 가장 빨리 반대편까지
줄
을 타게 하는지 겨뤄보자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목록을 훑어봤다. ‘앵그리 피지언(Angry Fijian, 성난 피지사람)’이란 칵테일이 맨 앞
줄
에 있다. 설명문을 읽어 보니 럼주를 베이스로 한 칵테일이다. 럼(rum)은 사탕수수 즙을 발효시켜 증류한 술이다. ‘오늘은 끝가지 사탕수수로 가보자.’칵테일을 가져오는 종업원에게 이 술을 마시면 정말 화가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일에 비하면 고작 10개의 숫자로 이뤄진 수를 이해하는 게 훨씬 쉽지 않을까?이것만 할
줄
알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④-약도 그리기 우리집이 어디 있는지 다른 사람에게 알려 주기 위해 약도를 그려 본 적이 있는가? 언뜻 보기엔 쉬운 일 같지만 사실 약도를 그리려면 대단한 추상화 능력이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언제부터 우리 생활에 이렇게 숫자들이 넘쳐나게 된 걸까? 아주 옛날 사람들은 계산을 할
줄
몰라도 큰 불편함이 없었을거야. 하지만 조약돌을 세면서 수를 대신하던 시절과 상형문자로 수를 쓰던 시대를 거쳐 아라비아숫자로 수를 표현하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수가 갖는 영향력은 점점 더 커졌어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유닛B가 유닛A를 파괴하는 데 걸리는 6번의 공격 횟수 동안 유닛B를 6대 파괴해 숫자를
줄
일 수 있어 최후의 승리를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유닛A승!]피아노 건반 속의 피보나치 수열피아노 건반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피보나치 수열을 찾을 수 있다. 피보나치 수열이란 1.1.2.3.5.8.13…처럼 마지막 두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놓인 숫자와 상수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하고 한
줄
에 같은 수를 곱한 뒤 서로 다른
줄
에 있는 수와 더하고 빼는 것을 반복해서 답을 구했다. 이런 과정에서 작은 수에서 큰 수를 빼는 경우가 자주 발생해 음수가 필요했다.양수와 음수를 셈하는 방법인 ‘정부술’도 역시 제8권 ‘방정’에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나머지 두 가지 손모양에는 지는 것으로 돼 있다. 카스는 가위바위보에서 비기는 경우를
줄
이기 위해 이 놀이를 고안했다고 한다. 미국에서 인기리에 방영하고 있는 TV 시트콤 ‘빅뱅이론’에서 소개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규칙은 다음과 같다. 가위는 종이(보)를 자를 수 있다. 종이는 바위를 감싸서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에 해당한다. 그러나 사람이 눈을 통해 얻는 영상은 3차원 정보를 담고 있어 2차원 정보만
줄
수 있는 카메라의 사진과는 ‘차원’이 다르다. 뇌는 양쪽 눈에서 들어온 2차원 정보를 처리해 대상의 3차원 정보를 재구성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람처럼 렌즈, 조리개, CCD가 각각 한 쌍씩 있고 여기서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