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재료를 맘대로 바꿀 수 있고, 구성부품의 배치와 사람들의 활동 패턴까지도 변화를
줄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60년이 흐른 뒤 원전에서 일어날 상황이지만 현실의 시간은 원전이 설치되지 않은 시간, 0에 머물러 있다.이것이 서 교수가 제안하는 4차원 소프트파워 기술이다. 3차원 영상에 시간 코드를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유전자는 인간의 수명을 조절하는 정보도 포함한다. 세포수준에서 노화는 세포의 수가
줄
어드는 경향을 일컫는다. 미국의 저명한 유전공학자 레너드 해이플릭은 노화의 비밀을 푸는 열쇠를 유전자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그는 자신의 저서 ‘노화의 비밀(How and why we age)’에서 세포의 분열횟수에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집중호우가 쏟아졌다.일반적으로 장마전선은 한 번에 많은 비를 내리면 수분량이
줄
어 빗
줄
기가 약해진다. 또 다시 많은 비를 뿌리려면 남해상으로 물러나 수증기를 머금은 뒤 북상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올해는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린 뒤 하루나 이틀 뒤 다른 지역으로 ... ...
신생아도 숫자 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쳐다봤다.이에 대해 이자드 교수는 “아기가 눈으로 본 수와 귀로 들은 횟수를 연관지을
줄
안다는 증거”라며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숫자를 인식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간혹 숫자 개념을 아는 것처럼 행동하는 동물도 있다. 하지만 이는 훈련을 통해 보는 수와 듣는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인체생리학도 연구하죠. 한국 과학자들은 한 번도 못 봤습니다. 이산화탄소
줄
이자,
줄
이자 하면 뭐 합니까? 실천을 해야죠. 이론만 박사면 아무런 소용이 없어요. 현장을 알아야죠.”기후변화 전도사 자청한 탐험가엄 대장은 청소년에게 희망을 품는다. 기성세대에게 실천과 행동을 요구하는 게 ... ...
태양 흑점 실종, 지구온난화 영향 없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10배가 넘는 것도 있다. 흑점은 아주 검게 보이는 중심부인 ‘암부(umbra)’와 방사성
줄
기가 나타나는 주변부인 ‘반암부(penumbra)’로 구성된다.흑점에서는 자기장이 나오는데, 중심부의 자기장 수치는 약 4000G(가우스)에 이른다. 이는 지구 자기장의 약 8000배다. 흑점의 온도는 약 4000K(켈빈, 절대온도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점① 금속제품들은 매우 뜨겁게 달궈진 상태인데도 만져보기 전에는 그렇게까지 뜨거운
줄
모를 때가 있다. 이 실험은 화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두꺼운 면장갑을 끼고 실험한다.② 기압과 관련해 실험할 때는 바늘구멍처럼 미세한 틈만 존재해도 실패한다. 캔의 윗부분은 틈이 생기지 않도록 ... ...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줄
때 물체가 흔들리는 진동수로, 같은 힘을
줄
때 길이가 짧은 고무
줄
이 길이가 긴 고무
줄
보다 고유진동수가 높아 더 빠르게 진동한다. 마찬가지로 길이가 짧은 관에서는 긴 관보다 공기가 빠르게 진동하며 높은음을 낸다.그런데 생황은 다른 국악기와 달리 하모니카처럼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현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지만 분자육종학자는 상대적으로 농민들과의 의사소통이
줄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육종학회 오대근 회장(한국농업대 교수)은 “기술만 연구하는 육종가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농민처럼 농업 현장을 알아야 하고 사회학자처럼 소비자의 변화를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라면 예측할 수 없는 부분인 비선형적인 요소가 15%”라며 “비선형적인 요소에서 오차를
줄
일 수 있는 기후예보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의 슈퍼컴퓨터는 격자 간격을 좁혀 계산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더 빠른 슈퍼컴퓨터도 필요하다.한 달 뒤 날씨 예측하는 비결한 마리 나비의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