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추측이 사실이라면 5차원 이상일 때는 항상 소시지 모양이 최소 부피로, 경계가 되는 개수도 구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차원마다 소시지 모양과 빽빽한 모양을 나눠 계산할 필요도 없고, 5차원 이상에 사는 사람들은 언제든 고민 없이 소시지 모양으로 선물을 포장하면 되는 거죠! 과연 이 추측은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생했어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사건이었지요. 천문학자들은 지구 주변 소행성의 개수와 과거충돌 빈도를 바탕으로 지름 20m급의 소행성이 수십 년에 한 번씩 지구와 충돌한다고 추정해요.‘지구방위학회’라고도 불리는 ‘행성방위학회’는 소행성 충돌 사건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 ...
- [수학체험실] 3가지 규칙으로 알록달록 꾸미는 아홉 색깔 큐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모두 보이게 큐브를 배치해보자. 먼저 3×3×3 큐브에 들어간 1×1×1 큐브의 보이는 면의 개수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1, 2, 3을 표시한다. 1이 표시된 큐브는 1개의 면만 보이고, 보이는 면이 없는 중심에 위치한 큐브는 0으로 나타낸다.여기서 특정 색의 1×1×1 큐브를 3×3×3 큐브의 6면에 한 번씩만 ...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를 삼각형 모양으로 배열해 놓은 것이다. 1을 시작으로 아랫줄로 내려가면서 수의 개수를 하나씩 늘려 삼각형 모양으로 수를 나열한다. 이때 양 끝에는 항상 1이 오며, 윗줄의 두 수를 더한 값을 바로 아랫줄에 적는다. 트리의 수들은 파스칼의 삼각형처럼 일정한 규칙을 갖진 않지만, 모두 한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각도를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김 작가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으로 매듭의 개수에 따른 모든 형태를 보여주는 ‘매듭 제네레이터’를 제작했습니다. 이를 이용해 매듭의 모양을 보고 가장 아름다운 구조를 선택한 뒤, 매듭을 구성하는 셀의 각도를 일일히 계산했습니다. 수천 번의 계산 끝에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따르면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와 에라토스테네스는 소수의 개수와 소수를 찾는 방법 등을 연구했어요. 하지만 이후 별다른 진전이 없었어요. 그러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잘 알려진 17세기 프랑스의 아마추어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에 의해 다시 활발히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더 긴 수명을 갖는 것처럼 보이게 될 것이다. 이럴 경우 병을 사용한 방법은 중성자의 개수를 세는 것이어서 제대로 중성자의 수명을 잴 수 있지만, 양성자를 세는 빔 방식은 오류를 갖게 된다. 중성자가 암흑물질로 붕괴할 수 있다는 새로운 가정이 정밀한 수명 측정 과정에서 실제로 관측된다면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칩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반면 IBM은 올해 53큐비트를 달성했다고 발표했죠. 큐비트 개수만 보면 구글이 가장 앞선 것으로 보이지만, 그게 그렇게 간단하진 않습니다. 큐비트 수명과 제어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단 구글과 IBM은 초전도체를 이용해 큐비트를 개발 ...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사각형의 개수를 셉니다. 그림의 같은 부분을 더 촘촘한 격자로 나타내고 사각형의 개수를 센 뒤 두 값을 프랙털 차원을 구하는 식에 대입하면 약 1.75의 값이 나옵니다. 1보다 2에 더 가까운 값이므로, 몬드리안의 나무는 프랙털 성질을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추상화는 본질에 다가가기 위한 ... ...
- [수학뉴스] 정수보다 작은 수 체계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참?!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유한체는 정수보다는 작은 수 체계로 정수의 성질을 닮았지만, 정수와 다르게 원소의 개수가 유한 개입니다. 유한체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다항식에 관한 문제로 표현할 수 있는데요, 연구팀은 인수분해가 되지 않는 다항식을 소수라고 분류했습니다. 그리고 소수 사이의 차가 2인 경우가 있는지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