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코끼리는 수를 냄새로 구별한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능력은 아직 다른 종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특별한 능력입니다.연구팀은 코끼리가 냄새로 개수를 구분하는 원리를 알아내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 발견을 통해서 인간과 다른 종의 지능을 이해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 논문은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 ...
- [수학뉴스] 산이 그토록 아름다운 이유, 수학으로 찾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수에 따라 새로운 분포도를 그렸습니다. 그 결과 연결선 수가 많을수록 해당하는 점의 개수가 줄어드는 멱함수 그래프가 나왔습니다. 멱함수는 지수가 고정돼 있고 밑을 변수로 가지는 거듭제곱 꼴의 함수입니다. 분석 결과 멱함수의 지수가 산의 종류에 관계없이 1.6에 근접한 값을 나타냈죠. ... ...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구성하는 은하단과 은하군은 수많은 은하를 보유한 은하 무리로, 은하의 개수에 따라 달리 부른다. 수백~수천 개의 은하들로 이뤄진 것이 은하단, 수십 개 정도로 이뤄진 것이 은하군이다.은하단 내부의 은하들은 모두 서로의 중력에 묶여있다. 그래서 우주에서 은하들의 밀도가 가장 높은 구역이다. ...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역시 햄 샌드위치 정리로 설명할 수 있어요. 이산수학에서 점들의 집합의 부피는 점의 개수로 정의되기 때문에 똑같은 원리를 적용할 수 있고, 점들이 아무리 뿔뿔이 흩어져 있어도 직선 하나로 2등분할 수 있어요. 물론 이 경우에도 3개의집합이 흩어져있다면 각각 반으로 나누는 직선은 없을 수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인공지능 전용 반도체) 칩을 적용했다. 이세돌과 대전을 펼친 ‘알파고 리’에 비해 칩 개수는 12분의 1, 전력 소모는 10분의 1로 줄였다. 고성능 시스템반도체를 만드는 방식은 여러 가지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인공지능 가속기’를 넣어 설계하는 것이다. ... ...
- [정수론 어벤져스] 열정과 노력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에 도전!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놀랍게도 그 과정에서 한계를 낮출 방법을 알아낼 수 있었죠. 3개월 만에 소수의 개수를 16개로 줄였어요. 이후 한계를 14, 13개까지 연이어 줄이자 데슐리에 교수는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에 저를 데려가서 결과를 발표할 수 있게 해줬어요. 발표하기 직전까지 계속 연구를 하면서 소수 11개만 ... ...
- [알고리듬 시그널] 해밀턴 회로 문제를 푼다! 백트래킹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정확한 해와 해의 개수를 알기는 어려워요. 이때 백트래킹 기법을 쓰면 정확한 답과 해의 개수도 알 수 있답니다! 견우가 이 설명을 들었으면 금방 경로를 결정할 수 있었을 텐데 사서 고생을 하고 있네요. 그래도 먼저 사과하기 전까진 도와주지 않을 거예요! 참고자료문양세 ‘Algorithm ... ...
- [오일러 프로젝트] 피보나치 수열 속 1000자리의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5호
- 34개의 나선을 따라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해바라기가 커지면 나선 개수도 각각 55개와 89개, 또는 89개와 144개로 커지기도 하며 그 역시 피보나치 수다. 해바라기뿐 아니라 솔방울이나 파인애플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피보나치 수열을 따른 배치는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만든다면 더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모터의 개수가 많아져 다리가 무거워지고 제어도 복잡해지는 만큼 일단 최소 숫자인 6으로 결정해봅시다. 사실 로봇 중에는 자유도 5로 만들어지는 작은 로봇들도 있습니다. 이 로봇들은 걸음걸이가 상당히 제한돼 아주 ... ...
- [오일러 프로젝트]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모두 되는 마법 도형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완전수 중에서 짝수인 경우는 모두 삼각수가 된다.사면체수는 사면체를 이루는 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다. 삼각수가 평면도형의 수라면, 사면체수는 입체도형을 나타내는 수다. 그런데 피라미드 모양의 사면체는 삼각형을 쌓아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삼각수로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