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시간대에 그 이름을 딴 별자리 근처를 관찰하고 있으면 된다.시간당 볼 수 있는 별똥별의 개수(ZHR·Zenithal Hourly Rate)는 유성우마다 다르다. 적게는 5개에서부터 120~150개까지 다양하다. ‘3대 유성우’로 유명한 사분의자리 유성우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보통 시간당 100~120개의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2마디로 이뤄져 있는데, 그중 마지막 마디에 있는 틈을 후기문이라 한다. 후기문의 틈의 개수에 따라 구더기의 발육 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데, 틈이 1개면 1령, 2개면 2령, 3개면 3령이다. 구더기가 3령에 이르면 더 이상 먹이를 먹지 않는 후섭식기 단계로 접어든다. 이 단계에 접어든 구더기는 시체를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이냐고요? 연구팀은 새로운 칼레이도사이클에 사용하는 사면체 개수를 무한대로 늘리면 3번 꼬인 뫼비우스 띠가 나타나는 것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유닛을 연결하는 각도가 90°보다 작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뫼비우스 띠처럼 꼬인 칼레이도사이클이 ...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사건 또는 포함되지 않는 사건 두 가지로 나눕니다.② 곱의 법칙을 이용해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합니다.● 서술형 문제 채점 기준아래 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채점합니다. 예를 들어 예제가 10점 만점인 문제라면① 각 원소를 조건에 따라 제대로 나누고, 곱의 법칙을 이용해 바르게 설명한 경우: ... ...
- [수학뉴스] 머신러닝에도 괴델의 정리가?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연속체 가설이란 정수 집합보다 원소의 개수가 많고 실수 집합보다는 원소의 개수가 적은 집합은 없다는 추측입니다. 그런데 최근 아미르 예후다요프 이스라엘 테크니온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최대 추정’이라는 새로운 머신러닝 모형을 설계했는데, 이것이 불완전성 정리와 관련 있다는 ...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상자에서 어떤 면을 바닥에 닿게 쌓는지는 무시한 경우의 수입니다. 그런데 상자의 개수를 10개로만 늘려도 경우의 수가 362만 8800가지(10!)로 걷잡을 수 없이 커져요. 보통 이사를 할 때 쓰는 박스는 적게 잡아도 10개가 넘으니까 풀기 어려운 NP 문제라고 볼 수 있겠죠? 이건호 숭실대학교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프랙털은 전체 구조와 같은 모양의 작은 구조가 반복되며 전체 모양을 만드는 기하학적 형태를 말합니다. 브로콜리부터 유리에 생기는 성에까지 자연에서 쉽게 관찰 ... 을 서로 다른 색 블록으로 채우기 때문에 전체 개수에서 남는 부분을 빼는 방식으로 없어지는 부분의 개수를 구한다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문제’는 클러스터를 나누는 방법을 찾는 알고리듬이에요. 전체 점을 원하는 개수의 집합으로 나누고 집합마다 중심이 되는 점을 선택하는 문제죠. 다만 점을 선택할 때 가장 큰 집합의 지름이 최소가 되도록 점을 골라야 해요. 클러스터링 개념을 충분히 이해했다면 다음 시간에는 클러스터링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종을 사이에 두고 분화했다).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가능하다. 국내 연구진이 호랑이 게놈 지도를 이용해 백호랑이, 사자, 설표범의 게놈 지도를 ‘리시퀀싱(한 종의 게놈 지도를 기준으로 유전적으로 가까운 다른 종의 게놈 지도를 간접적으로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위에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것이지요. 그래야만 가우스가 제시한 수식이 소수의 개수를 정확하게 예측하게 됩니다. 이것이 ‘리만 가설’입니다. 리만은 불과 3개의 영점만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 모든 숙제를 후대 수학자에게 맡겼습니다. 올해는 그가 리만 가설을 발표한 지 16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