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스페셜
"
분해
"(으)로 총 4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합성돼 저장된다. 한편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 역시 혈당이 떨어지면 포도당으로
분해
돼 뇌나 적혈구의 에너지원이 된다. 따라서 고된 훈련으로 김 선수의 간에 있던 글리코겐까지 바닥나고 혈당도 떨어지면 피로감을 느끼기 마련인데 파스타를 먹으면서 바로 채워지기 때문에 기운이 난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부른다. 즉 문신 안료를 외부 이물질로 인식해 잡아먹기는 했는데 이를
분해
할 효소가 없다 보니 그냥 머금고 있는 상태다. 그런데 대식세포는 몸 이곳저곳을 돌아다니지 않는가. 흥미롭게도 진피에 자리를 잡은 대식세포는 죽을 때까지 머물며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팔뚝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존재하게 된 것일까. 앞서 언급했듯이 사람의 소장에는 트레할로스를 포도당으로
분해
하는 소화효소인 트레할라제가 있다. 따라서 설사 트레할로스가 들어있는 음식을 먹더라도 소장을 거치는 사이 소화돼 클로스트리디움이 사는 대장에서는 거의 없는 것 아닐까. 그러나 사람의 소장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화학생물학’ 제공 이렇게 얻은 인디칸 용액을 흰 데님 천에 뿌려준 뒤 배당체가수
분해
효소 용액에 담그고 나서 말리자 천이 점점 파랗게 바뀌었다. 이 과정을 세 번 반복하자 충분히 짙은 청색이 나왔다. 즉 인디고 제조에서 염색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유해한 화합물이 개입되지 않는 친환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있을지 몰라도 영 불편할 것이다(효율이 낮은 효소). Aldh2 변이형이 하나라도 알데히드
분해
능력이 50%가 아니라 17%인 이유다. 따라서 이런 사람이 매일 와인 한 잔을 마시는 건 표준형인 사람이 매일 와인 한 병을 마시는 꼴이다. 건강에 좋을 리가 없다. 그런데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이런 사람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단백질은 베타-카테닌이다. 대장암의 경우 베타-카테닌의
분해
에 관여하는 APC라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베타-카테닌이 지나치게 활성화된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런 암세포에 NTZ를 투여할 경우 베타-카테닌의 양이 줄어들면서 암세포의 분열이 억제되는 것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일본산 굴이 하와이에서 발견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재난으로 인한 파편은 생
분해
성 재료가 아닌 플라스틱 등
분해
되지 않는 재료이기 때문에 해양 오염은 당연히 수반되는 문제다. 연구진은 “세계 200개 국가에서 매년 1000만 톤이 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로 쏟아져 나온다. 이러한 인공 바다 쓰레기에 해양 생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
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먹는 애벌레 논문은 잘 모르겠다. 부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실험에서도 폴리에틸렌을
분해
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오고 효소 시스템도 밝혀져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을 막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속 장내미생물이 생체이물인 멜라민을 대사해 암모니아와 시아누르산(cyanuric acid)으로
분해
하는데, 소화관에서 흡수돼 혈관을 타고 신장에 도달한 시아누르산이 역시 그렇게 온 멜라민과 복합체를 형성해 불용성 결정, 즉 결석을 만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멜라민 분유를 먹은 아기들 가운데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결정과 관련된 노벨상 수상자 리스트를 꼽아보겠습니다. 1926년 제임스 섬너가 효소(요소
분해
효소)를 결정으로 만들기 전까지는 단백질은 분자량이 너무 커서 결정을 만들 수 없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였습니다(섬너는 이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그 뒤로 존 노스롭은 1930년 소화효소인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