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소나무보다 이산화탄소를 3.8배나 많이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권수덕
박사
는 “대나무는 성장이 빠른 수종인 만큼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다른 수종에 비해 이산화탄소를 많이 흡수하며 광합성을 활발히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또 대나무는 생물체를 열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리보-Q 리보솜’ 등장영국 케임브리지대 분자생물학연구소 의학연구위원회 제이슨 친
박사
팀은 2007년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그 해결책을 제시해 주목받았다. 즉 새로운 아미노산이 들어가는 단백질 제조 전용 리보솜을 만들어낸 것. 이들은 번역을 시작할 때 ... ...
항공대란은 마그마와 빙하의 합작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갑자기 재가 많이 날리는 원리와 같다. 아이슬란드 지구과학원의 비요른 에이나르손
박사
는 “이번 화산 폭발로 분출구 주변의 빙하가 녹으면서 마그마에 물이 잔뜩 섞인 탓에 화산재가 다량으로 생성됐다”고 설명했다.화산재 구름은 바람을 타고 북유럽과 러시아, 시베리아를 거쳐 한국과 ... ...
은하 운명 위협하는 초거대 블랙홀의 식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같은 연구결과를 4월 16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국립천문협회 미팅에서 발표했다.블럭
박사
는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해 방사선과 X선을 방출하는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하는 100개의 은하를 관찰한 결과 이들 중 3분의 1이 새로운 별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고유 음식인 김치나 장을 발효시키는 미생물에 대한 연구도 국내보다 일본에 더 많다. 권
박사
는 “우리 고유의 식품을 세계화하려면 얼마나 맛있고 건강에 좋은가를 알리는 일도 중요하지만, 그 음식에 얽힌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도 탄탄히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그렇기 때문에 한국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배격하는 편집 방침을 뚜렷이 대변한다. 과학기술정책학으로 학위를 받은 박상욱
박사
의 ‘과학자 vs. 과학자’ 코너는 서로 관점이 다른 사회과학자와 자연과학자의 가상 대담을 통해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패권주의와 과학 만능 풍토에 경종을 제시한다.또한 김우재 미국 샌프란시스코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때 광학 장비의 기술적인 한계를 일거에 극복한 아이디어가 CPA 방법이다. 무루
박사
는 펄스를 최대출력을 낮춰(펄스폭을 늘려) 증폭시킨 다음, 발진시키기 직전에 증폭시킨 빛의 최대출력을 다시 높이는(펄스폭을 좁히는) 방법을 제안했다. CPA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다시 고출력 레이저를 ... ...
최고 과학기술훈장에 류근철, 손연수, 이호인, 고(故) 조경철 씨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접목해 융·복합 학문을 발전시켰으며 147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고 조경철
박사
는 정부 해외유치 과학자 제1호로 한국천문학회 및 한국우주과학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초창기 한국의 천문학과 우주과학 발전 및 과학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만에 알파붕괴로 사라졌다.이번 결과에 대해 독일 GSI 헬름홀츠센터의 지그루트 호프만
박사
는 “원자핵 이론에 따르면 원자번호 114번을 중심으로 원자핵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안정성 섬’이 있다”며 “이번 원소도 안정성 섬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JINR의 유리 오가네시안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미국 뉴욕 스토니브룩대 프레드 그린
박사
도 “버거
박사
팀이 아프리카누스끼리의 개체변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두 화석 중 하나가 미성숙한 나이이기 때문에 해부학적 특성이 성인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전문가들은 “세디바가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