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One More Step to AIDS Cure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데이비드 호
박사
의 이론을 실험해보도록 700만 달러(약 84억 원)를 지원했다. 데이비드 호
박사
는 그의 연구소 인력의 반 이상을 이 프로젝트에 투입했으며, 현재까지의 결과는 과학적 발견에 대한 그의 열정을 다시금 불러일으켰다. 그는 이제 실험실로 돌아와 실험을 감독하고 있다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후 편집장님께 기자증과 기자수첩까지 받았어요. 나도 뛰쳐나가서 받고 싶었지만 섭섭
박사
로서의 체면을 생각해 간신히 참았답니다. 이번엔 명예기자 소개의 시간. 전 놀라 자빠질 뻔했어요. 명예기자들이 이렇게 뛰어난 재능까지 있을 줄이야! 재치 있는 말솜씨는 물론 영어와 악기 연주에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역사상 이 정도 크기의 뱀과 한 번도 맞닥뜨린 적은 없다. 캐나다 토론토대 제이슨 헤드
박사
팀은 지난해 영국에서 발행된‘네이처’2월 5일자에 이 뱀의 발견 소식을 처음 소개했다.백악기 - 공룡도 먹어치우던 괴물 개구리, 베엘제부포(Beelzebufo)과학자들은 2008년 아프리카 동쪽 마다가스카르섬에서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상수원이 말라붙거나 화학비료로 인해 땅은 황폐해지고 있다. 지난해 타계한 볼로그
박사
는 생전 필자와의 인터뷰에서 “녹색혁명이 한계에 다다른 것을 느낀다. 유기농법이나 순환식 재배로는 거대한 식량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과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GMO가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1969년 7월 21일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을 때 한국인들의 이목을 사로잡은 과학자가 있었다. 인류의 달 착륙을 생중계해 ‘아폴로
박사
’로 유명해진 조경철
박사
다.한평 ... 했다. 국민들의 마음속에 고인은 늘 장난기 섞인 밝은 웃음소리와 함께 ‘아폴로
박사
’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는 10권 세트가 나왔다. 옮긴이는 파브르의 모교인 프랑스 몽펠리에 2대학에서 곤충학
박사
과정을 밟으면서, 파브르의 자취를 따라 수없이 채집과 연구 활동을 했다. 생태 사진 약 800컷, 세밀화 약 500컷과 함께 1500종의 곤충 이야기를 즐길 수 있다. 파브르가 오해했던 생물학적 사실에 대해서는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그 합성법을 개발하는 데 치중하는 편이라 기초 화학 연구에 가깝다”고 설명했다.마침
박사
과정에 있는 강범구 연구원이 반응물질을 섞기 위해 자리를 잡았다. 유리용기에 연결된 유리관마다 음이온에 따라 독특한 색을 띠는 고분자 용액들이 들어 있었다. 강 연구원은 드라이아이스로 -78°C를 ... ...
어려울 때 힘이 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국내자격증은 3~5년, 국제자격증은 5~7년 정도가 걸려요. 국제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박사
학위를 받을 정도의 공부를 해야 하지요.”조 전무님은 국내, 국제 자격증을 둘 다 가지고 계셔. “보험 상품을 만들고 돈을 관리하는 일은 수학과 통계 지식이 많이 필요해요. 그러다 보니 수학이나 통계를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우주를 비행한 끝에 지금부터 1만 3000년 전 지구의 남극에 떨어졌지요.실제로 매케이
박사
팀은 운석을 확대한 사진에서 크기가 100㎚보다 작은 미화석 비슷한 흔적을 확인했어요. 또 생명의 흔적으로 볼 수도 있는 탄소유기물도 발견했지요. 하지만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미생물보다 훨씬 작고 구조도 ... ...
무질서 구조로 빛을 저장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뚫어 빛을 통과시키자 쏜 빛의 94%가 저장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연구팀의 피터 로달
박사
는 “무작위한 구조가 빛을 더 효율적으로 저장할 뿐 아니라 움직임을 더 활발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만, 현실에 적용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