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죽음을 예고하는 자살 경고등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는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이 죽음을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예고하고 있음을 뜻한다.녹
박사
는 “정신과 치료를 꾸준히 받는 환자라도 자신의 생각을 감추기 때문에 자살을 막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며 “이번 연구로 환자가 자살할 가능성에 대한 임상평가를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경쟁적인 기술개발은 곧 미래에너지의 현실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명인성
박사
는 “어느 한 에너지의 성공을 논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그는 “현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중 당장 쓸 만한 것은 풍력 정도”라며 “태양광은 재료 자체가 석유산업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천적을 피해 도망친 것이란 주장도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과 김영혜
박사
는 “대왕오징어가 천적인 향유고래의 공격을 피해 근해로 왔다가 깊은 바다에선 강하게 느끼지 못했던 부력 탓에 죽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렇다면 대왕오징어가 출몰하는 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대목이다.1993년 연세대로 부임한 이 교수는 칠레 세로토롤로 천문대의 앨리스터 워커
박사
에게 부탁해 어렵게 관측 일정을 잡았다. 더 이상 망원경이 없어서 연구를 못하는 상황을 보고만 있을 순 없었다. 급기야 1997년 1년 치 연구비를 들여 제자 2명을 칠레로 보냈다. 주어진 시간은 단 1주일. 제자들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1969년 7월 21일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을 때 한국인들의 이목을 사로잡은 과학자가 있었다. 인류의 달 착륙을 생중계해 ‘아폴로
박사
’로 유명해진 조경철
박사
다.한평 ... 했다. 국민들의 마음속에 고인은 늘 장난기 섞인 밝은 웃음소리와 함께 ‘아폴로
박사
’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 ...
삼각형의 무한 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과학시간에만 한다는 편견은 날려 버려~! 아르키매스
박사
님이 수학 실험실을 여셨어! 실험을 통해 수학을 만지고 느끼고 수학과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수학 실험! 기대하시라~. 개봉박두!트랜스포머 삼각형 영화 트랜스포머를 보면 도로 위를 쌩쌩 달리는 각종 자동차가 멋진 로봇으로 ... ...
공기 오염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하나의 분모로 통분해야겠군요.선생님 : 이런…, 큰일 날 뻔했군요. 이 공기정화장치는
박사
님의 말처럼 완벽한 게 아니었어요. 그렇다면 이 탱크가 꽉 차서 오염물질이 밖으로 새어나가려면 며칠이 걸리는지 계산해 봐요.선생님 : 아하~, 8일하고 13시간이면 탱크가 폭발한다는 얘기군요. 좀 더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와 비슷한 분자가 실험실에서 만들어졌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제랄드 조이스
박사
팀은 서로 상대방의 합성을 촉매하는 두 리보자임(E와 E´)을 만들었다고 지난해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상대 분자를 만들면 결국 자기도 더 많이 만들어지므로 간접적 자기복제인 셈이다. 아쉽게도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역사상 이 정도 크기의 뱀과 한 번도 맞닥뜨린 적은 없다. 캐나다 토론토대 제이슨 헤드
박사
팀은 지난해 영국에서 발행된‘네이처’2월 5일자에 이 뱀의 발견 소식을 처음 소개했다.백악기 - 공룡도 먹어치우던 괴물 개구리, 베엘제부포(Beelzebufo)과학자들은 2008년 아프리카 동쪽 마다가스카르섬에서 ... ...
‘지방맛’ 둔감하면 살찐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공통적으로 기름진 음식을 상대적으로 덜 섭취하고, BMI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키스트
박사
는 “사람의 혀는 단맛과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외에 ‘제6의 맛’인 지방맛을 느낄 수 있다”며 “현대인들이 지방맛에 둔감해지면서 기름진 음식을 점점 찾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지방맛을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