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주고받기 위해 IP주소를 가상의 휴대전화 번호로 바꾸고, 이 번호를 휴대전화의 무선망과
연결
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의존도가 높은 '엄지족'이 등장하며 방송이나 설문, 투표, 기업마케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환자의 가족이나 가까운 친척의 의학적 내력 ... ...
꿈꾸고 성공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오스트리아의 오토 뢰비는 개구리 심장 두개를 각기 다른 병에 넣고 그 사이를 소금물로
연결
한 다음, 한쪽 심장의 신경에 전기자극을 줘 박동을 느리게 했더니 다른쪽 심장에도 마찬가지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이 실험은 신경신호 전달이 화학물질에 의한 것임을 발견한 것으로 1936년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는 “뇌과학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도
연결
되는 융합적인 학문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이 강연회가 더 의미있는 것입니다”라며 자부심을 나타냈다.뇌기능연구사업단장인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경진 교수는 “뇌연구의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입으로 들어갔던 물고기가 숨구멍으로 나오는 설정이다. 사실 고래의 입과 숨구멍은
연결
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서머스 박사도 이런 설정이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대했다. 하지만 제작진은 물고기 부자(父子)의 극적인 상봉을 위해 그대로 밀고 나갔다.영화처럼 살다간 자문과학자 지난 1월 1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화석인 스트로마톨라이트도 나온다. 뿐만 아니라 백령도 일원은 중국에서 북한까지
연결
된 지층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이미 8억년 전후의 고지자기가 밝혀진 중국과의 연관성이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당시 한반도 주변의 상황을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백령도 지층의 발견은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때문에 바다 한 가운데 제주도가 있음에도 여러 종류의 동물들이 살게 된 것이다. 육지와
연결
됐을 당시의 제주도는 지금보다 훨씬 큰 지역이었을 것이다.그리고 지금부터 약 4천-5천년 전에야 1천9백50m 높이의 한라산이 완성됐다. 이때에는 일출봉과 송악산을 형성시킨 화산도 분출했다. 아마도 우리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완벽하게 실현할 계획이다. ONS는 물체 코드와 인터넷에 있는 물체 관련 정보를 서로
연결
시켜 주는 서비스로 도메인네임서비스와 유사하다. 이것이 실현되면 전자태그 센서가 달린 휴대폰으로 누구나 물체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기술적 법적 논란 일어 하지만 전자태그의 발목을 붙잡고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화면 아래 부분부터 중간 부분까지 사람들로 차게 된다. 모션컨트롤카메라는 컴퓨터와
연결
돼 각각의 피사체 위치를 공간좌표로 기억하기 때문에 나중에 피사체 위치가 바뀌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원경에서 뛰어다니는 병사들은 모두 가상 캐릭터들이다. 화면 중간부터 위쪽의 원경에는 컴퓨터로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다리에 장착하는 보행보조기와 같은 형태다. 금속재질의 로봇다리는 배낭받침대와
연결
돼 있는데, 배낭 안에는 로봇다리를 움직이는 동력장치와 컴퓨터가 들어있다. 배낭의 여유 공간에는 상당한 무게의 짐을 담을 수 있다. 로봇다리를 장착한 사람은 다리 무게 50kg에 배낭에 실은 32kg의 짐까지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신피질에서 더많은 활동이 포착됐다. 이 결과는 꿈에서 답을 알게 된 과학자들의 일화와
연결
돼, 연구 초기에는 장기기억을 형성하는 렘수면이 기억이나 학습에 더 중요하다고 생각됐다.그러나 윤창호 교수는 “지금은 렘수면이나 서파수면 같은 비렘수면 둘 다 기억과 학습에 의미가 있다는 주장도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