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47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암치료로 인한 남성 불임, 새로운 길 열려
2016.03.01
기술을 먼저 개발했다. 이 줄기세포를 다시 꺼내
면역
거부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만든
면역
결핍생쥐의 피부에 이식했더니 정상적인 군견의 정소조직이 만들어졌다. 재생된 정소조직 속에는 정자로 분화할 수 있는 정원세포가 안정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향후 인공적으로 ... ...
비타민을 먹어도, 자고 나도 계속 피곤… “간이 피로하군요”
동아일보
l
2016.02.29
움직이며 체내로 유입되는 각종 독소와 노폐물을 75% 이상 해독한다. 또 영양소 합성과
면역
체계 유지, 살균 작용 등도 담당한다. 실제로 우리 몸에 들어온 세균 중 1% 미만만 간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간 기능이 저하되면 피로함을 느끼는 것은 물론이고 이 같은 작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함에 ... ...
과학이 ‘미래 세대’에 물려줄 세상은 장밋빛일까
2016.02.28
쓸 수 있게 되면서 1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자신의 게놈 정보를 소유하고 계속해서
면역
상태 등 정보를 업데이트해 나가면서 건강을 관리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미래에 대한 전망은 쏟아지지만 다가오지 않은 먼 미래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은 거의 없다고 네이처는 ... ...
청국장에서 ‘스타 균주’를 찾아라
2016.02.26
비피더스균. 체내에 들어가
면역
강화, 장 질환 억제 등 건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이다. 이런 균을 통틀어 프로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 세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010년 216억 달러(약 26조6600억 원)에서 지난해 311억 달러(약 39조4000억 원)까지 연평균 7.6%씩 증가하며 가파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 ...
3D 프린터 유해물질,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6.02.25
데스크톱 3D 프린터로 쓰이고 있다는 겁니다. 어린 학생들은 단위 체중 당 호흡량이 많고
면역
력이 낮아서 이런 물질에 더욱 취약한 데도요. 따라서 방과 후 교실에서 학생들이 3D 프린터를 사용할 때는, 환기를 잘 시키는 게 필수입니다. 나아가 제조사에서 인체와 환경에 친화적인 소재를 ... ...
[토요이슈]유전자 조작-DDT 살포? 더 무서운 모기 낳을 수도
동아일보
l
2016.02.20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이다. 영국 의료자선재단 웰컴트러스트의 마이크 터너 감염·
면역
실장은 브라질에서 지카 바이러스가 유행하자 이집트숲모기 퇴치를 위해 맹독성 살충제인 DDT 살포와 같은 극단적 수단까지 동원될 수 있다고 최근 경고하기도 했다. DDT를 마치 금기어처럼 여기던 이전과는 사뭇 ... ...
암세포가 만든 슈퍼 히어로? ‘데드풀’의 과학
2016.02.19
멈추지 않는다. 결국 주인공의 몸속은 끊임없이 증식하는 암세포와 이를 파괴하는
면역
세포 사이의 ‘격전장’이 된다. 암세포는 얼마나 빨리 분열할 수 있을까.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정상세포는 몇 번 분열한 뒤 더 이상 분열하지 않지만 암세포는 비정상적으로 끊임없이 분열해 그 ... ...
항생제 남용, 인체의 바이러스 방어력 떨어뜨려
2016.02.18
생성됐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물질이 바이러스에 맞서 신체를 지키는
면역
세포인 T세포가 감염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막아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 능력을 약화시킨다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팀은 IL-33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해로운 미생물이 단백질 분해 효소를 분비해 몸속 ...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의 이종교배, 언제부터 이뤄졌나
2016.02.18
7000년 전 사라진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오랫동안 공존하면서
면역
등 유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의 이종교배가 종전 예측보다 4만 년이나 이른 10만 년 전부터 이뤄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세르히 카스텔라노 ... ...
운동할 때 팍팍 나오는 ‘아드레날린’ 종양 억제에 탁월
2016.02.17
하더라도 종양이 자라는 속도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아드레날린이
면역
반응의 ‘신호’를 담당하는 분자의 한 종류인 IL-6를 NK세포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고 NK세포를 혈류 속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호이맨 연구원은 “아드레날린이 분비될 만큼 강도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