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면역"(으)로 총 4,284건 검색되었습니다.
- 2시간 걸렸던 급성 심근경색 진단, 실시간으로 가능2016.10.07
- 한다. 30분마다 사망률이 7.5%씩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효소면역진단법은 빠른 검사 결과 얻기에는 측정 감도가 너무 낮았다. 질병진단 물질에 발광물질을 반응시켜 신호를 증폭하는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했는데, 최대 2시간이 필요했다. 이에 연구진은 환자 혈액 ... ...
-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06
- 질문 하나를 던졌다. “코가 냄새를 맡는 데 관여하는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췌장이나 면역세포 같은 조직과 세포에서도 발현되는지 알아보고 싶은데, 특정 후각수용체 유전자를 콕 집어내는 게 쉽지 않네요. 혹시 도와주실 분 있나요?” 이 질문이 김민수 교수의 뇌리에 꽂혔다. “내 기술로 할 수 ... ...
- 영양제로 먹는 아연, 설사병의 원인된다2016.09.27
- 과도한 아연(Zn)섭취가 설사병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미국 연구진이 밝혀냈다. 아연은 면역기능 유지하고 세포분열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밴더빌트대 에릭 스카 교수팀은 아연이 설사병을 악화시키는 원인물질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과학저널 네이처 매디슨 26일자에 게재했다. ... ...
- ‘부르르’ 눈떨림이 지속된다면 이것만은 꼭!2016.09.26
-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니 이게 무슨 일?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마그네슘이 면역력, 골다공증, 근육질환 등에 탁월한 도움을 준다고 하니 오늘부터라도 꾸준히 챙기는 습관으로 스트레스, 현대인의 고질병으로부터 해방되어 보는 건 어떨까? 인생은 길고, 건강관리는 장기전이 될테니까 ... ...
- 봄볕은 며느리에 가을볕은 딸래미에게, 가을엔 햇볕이 만병통치약! 2016.09.22
- 비타민 D의 최대 공급원은 바로 햇볕! 햇볕을 쪼여야 피부에서 생합성되는 비타민 D의 면역 기능은 보통 3~4개월 정도 유지되는데, 감기나 독감 등 각종 바이러스 질환이 유행하는 겨울을 대비해 가을에 미리 비타민 D를 축적해두면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GIB 제공 ● 감기, 편두통, 냉방병, ... ...
- 영화 ‘인터스텔라’ 자문한 ‘킵손’ 교수, 올해 노벨상 받을까2016.09.22
- 교토대 의과대학원 면역 및 유전체의학과 교수, 아렌 샤프 미국 하버드 의대 미생물학 및 면역생물학과 교수를 비롯해 총 9명을 수상 유력자로 올렸다. 한국인은 올해에 포함되지 않았다. 톰슨로이터는 2014년 유룡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장을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 ...
- 아파도 말해주지 않는 침묵의 장기, ‘간’을 챙기세요2016.09.20
- 간은 음주 시 섭취한 알코올을 분해하고 몸 속에 유입되는 각종 독소와 노폐물을 해독, 면역체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기입니다. 그런데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의 독소가 들어올 경우, 독소를 제대로 분해하지 못하고 전신에 쌓이게 됩니다. 이럴 경우 휴식을 취해도 피로감이 가시지 않고, ... ...
- 인류가 아기를 낳지 못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2016.09.18
- 현생인류와 다른 네 가지 유전자가 있었다. 그중 하나는 현생인류 여성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다. 이 때문에 네안데르탈인 남성과 현생인류 여성 사이에서 남자아이를 가지면 자연유산이 됐다. 당시 네안데르탈인은 무리의 수가 계속 줄어드는 상황이었고, 현생인류와 짝을 ... ...
- 추석 명절 맛 좋은 과일, 어떻게 고를까?2016.09.13
- 감기 예방에 탁월한 감에는 비타민 A와 C가 풍부해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어 면역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감의 떫은 맛을 내는 타닌 성분이 체내 점막 표면의 조직을 수축시켜 설사나 위궤양 같은 소화기 질환을 치료한다고! 그뿐 아니라 알코올의 산화와 분해를 돕는 과당과 탄닌 성분이 ... ...
- “내 단백질 사진으로 그를 추모합니다”2016.09.11
- 추모하는 경우는 의외로 자주 볼 수 있다. 지난달 학술지 ‘셀 메타볼리즘’에는 혈관면역자로 이름 높았던 정철호 캐나다 맥길대 교수를 추모하는 글이 실렸다. 정 교수는 올해 4월 24일 갑자기 집에서 쓰러져 세상을 떠났다. 그간 그가 밤낮으로 연구에 매달린 터라 과로가 원인이라는 것이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