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많이 알 수 있게 된답니다. 그러다 보면 친구들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밝혀낼 수도 있을 거예요.”펜으로 공부하자! 전자펜야!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그냥 필기구로 공부하려고 그러니? 최첨단 디지털 펜으로 공부를 하는 건 어때? 네가 공부한 내용을 그대로 컴퓨터에 ...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발견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재구성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하지만 19세기에서야 공리 1, 2, 3, 4를 만족하면서 5번은 성립하지 않는 새로운 기하가 발견되면서 1, 2, 3, 4로부터 순수 논리 전개로 5를 유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혀졌다.유클리드 기하학은 과학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아마도 현대 물리학의 창시자라고 할 만한 영국의 수학자이자 ...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름이 있다. 독일의 수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프랑스의 수학자 루이 푸앵소가 발견했기 때문이다. 정이십면체는 무려 59가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 중 한 가지가 케플러-푸앵소 다면체다.이번 수학실험실에서 만나 볼 별팔면체는 ‘소노베’를 이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다. 소노베는 오리가미로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미로 출구를 빨리 찾은 거야?”박 형사의 손에는 창고 같았던 비밀공간의 쓰레기통에서 발견한 종이가 있었다. 종이에 그려진 미로가 바로 거대한 미로와 같았고, 박 형사는 먼저 미로의 길을 찾았던 것이다.“반장님, 이제 절 체포해 주세요. 누나를 찾기 위해 반장님에게 복수하려고 저지른 행동에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벤치에 앉아 ‘4색 문제(four color problem)’ 증명에 몰두하고 있는 수학과 학생 이시가미를 발견했다. 이시가미는 컴퓨터를 이용한 4색 정리 증명이 아름답지 못하다고 생각해 인간의 두뇌를 이용한 아름다운 증명 방법을 찾고 있었다.과연 수학 천재를 몰두케 했던 4색 문제란 무엇일까. 1852년 ... ...
- 세상에서 가장 큰 공룡 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아르헨티나 남부에 있는 파타고니아 사막에서 공룡 7마리의 뼈로 짐작되는 뼈 150개를 발견한 것이지요. 연구팀은 이 뼈의 주인이 약 9500만 년~1억 년 전에 살았던 초식공룡 아르젠티노사우루스의 일종이며, 지구에서 가장 큰 육지동물이었을 거라고 설명했어요. 그 이유는 이 뼈들이 사람 키를 훌쩍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내리고 난 몇 시간 뒤까지 선글라스를 끼면 시차에 훨씬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그 이유는 햇볕이나 조명을 쬐면 환경에 맞게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에요.그래서 태극전사들도 시차 적응을 위해 ‘햇볕 쬐는 시간’과 ‘잠자는 시간’을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행색의 남자가 사고 현장에 폭탄이 든 것으로 추정되는 가방을 놓고 가는 영상을 발견했다.데이터 마이닝이란 통계분석 중 하나로, 대규모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어내는 작업이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법은 ‘분류’다. 데이터가 어디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규칙을 만드는 것이다.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예측했다. 그 뒤 그가 예측한 것과 비슷한 성질을 지닌 파이온이라는 입자가 실제로 발견되면서, 그는 큰 주목을 받았다. 그 뒤 좀더 복잡하고 정확한 핵력 이론이 정립되면서 그의 이론이 완벽히 맞지는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하지만 입자가 힘을 매개한다는 발상 자체는 완벽히 맞았기에 그는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