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원리를 찾는 활동을 했어요. 모둠마다 다른 실험을 하고, 다른 모둠 친구들에게 자신들이 발견한 수학 원리를 가르쳐 주도록 했죠. 처음이라 미흡한 부분이 많았지만, 학생들 스스로 수학 활동을 한 것에 의미가 있었어요.”이렇게 첫발을 뗀 수학동아리는 현재 승승장구하고 있다. 학생들이 연구한 ...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살짝 엿볼 수 있다.프랑스의 수학자 카미유 조르당은 어느 날 원을 그리다 중요한 사실을 발견했다. 원 안쪽을 색칠하면, 원이 안과 밖으로 나누어진다는 점을 알아낸 것이다. 조르당은 이 내용을 확장해, ‘원처럼 도형을 그릴 때 시작점과 끝점이 만나 하나의 도형을 이루면, 이 도형은 안과 밖으로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것 같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종은 전체의 1%도 채 안 된다. 설마 싶나? 작년 한 해 새로 발견된 생물만 해도 무려 1만8000종. 당신이 글을 읽고 있는 이 순간에도 3~4만 명에 이르는 신종헌터들이 지구 곳곳에서, 특히 오지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찾아내고 있다. 아직 남아있는 99%는 어디에 숨어있는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박테리아에서는 가능하다. 조 교수가 2004년 23번째 문을 발견한 이후로 지금까지 3개가 더 발견됐다. 아직도 새로운 문이 70~80개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박테리아는 배양해서 콜로니(집합체)를 형성하기 전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관찰해도 신종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조차 없다(PLUS ... ...
- [과학뉴스] 목성 위성 유로파도 ‘판구조론’ 따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때의 모습과 같다. 또 강원도 면적과 비슷한 약 2만km2의 지각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부분이 오래된 지각으로, 바로 이웃한 얼음 지각 아래로 들어가 사라졌다고 해석했다. 사라진 지각은 녹아 마치 차가운 용암처럼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연구팀은 ...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9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커피에만 존재하는 23개의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그 중에는 카페인을 만들거나 막는 유전자(n-메틸트랜스퍼라아제 등)도 포함돼 있었다. 흥미롭게도 커피의 카페인 유전자는 초콜릿이나 홍차의 카페인 유전자와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 유전자가 진화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2년 처음 발견됐다. 이 천체는 긴 궤도 반지름이 약 500AU으로, 세드나의 절반 정도다. 이들은 오르트 구름의 안쪽 경계 부근에서 태양을 아주 느리게 공전하고 있다. 이런 천체가 더 있지 않을지, 두터운 오르트 구름 속에는 훨씬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뭔가 복잡한 실험 장치만이 놓인 공간. 사진작가는 그 곳에서 ‘과학자의 즐거움’을 발견했다.다른 컨테이너에는 다시마와 바나나껍질이 놓여 있었다. 작가는 기술이 사라져버린 세상을 상상했다. ‘그때는 어떻게 영화를 보게 될까?’ 과학자의 도움이 필요했다. 다시마와 바나나껍질로 필름을 ... ...
- [수학뉴스] 자연스러운 음악, 수학적 패턴 덕분이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6~8분 간격으로 서로의 박자를 따라잡고(catch-up), 맞춰 주는(slow-down)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의 연주가 빨라지면 다른 사람의 박자도 함께 빨라졌다. 그렇게 약 7분마다 음악의 리듬이 평형을 이루면서 곡이 진행됐다.헤닝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라이브 ... ...
- [뉴스포커스] 제13회 전국 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 수학 부문 수상자 발표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이승훈 영동대 수학과 교수는 “순수수학은 난제를 푸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새로운 발견을 하거나, 다른 수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는 학문”이라며, “학생들이 이 점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고 평가했다.또 다른 심사위원인 김수연 영남사이버대 논술지도학과 교수는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