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불규칙적인 움직임] 여러분, 브라운 운동 멈추고 정렬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브라운 운동’입니다. 브라운 운동은 1827년 영국의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이 발견한 현상입니다. 잔잔한 물 위에 떠 있는 꽃가루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도중,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끊임없이 돌아 다니는 현상을 알게 됩니다. 당시 브라운은 꽃가루가 가진 생명력 때문에 움직인다고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얼굴의 비례와 대칭을 조사해 나간 마쿼트는 얼굴 곳곳에 황금비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현대 미의 기준과 수학적인 비례와 대칭이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갖는 것이다.일명 ‘마쿼트 마스크’라고 부르는 이 가면을 살펴보면 코의 중심선에서 눈 바깥쪽까지의 거리와 눈의 가로 길이 등이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다. 이렇게 인정받은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 연구팀은 이번에 새로 발견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스페인 북동부 카탈로니아 지방의 전통 소시지를 만드는 데 적용했다. 자연 발효시켜 얻은 소시지는 저지방, 저염분이라 건강에도 좋았고, 심지어 맛도 훌륭했다. 다만 아직까지 ...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마틴 연구원은 새 246종이 서로 싸우는 모습을 2만3362회 관찰한 결과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가까운 종에서는 덩치 큰 새가 이길 확률이 81.7%로 높지만, 멀리 떨어진 종에서는 이 비율이 66%로 떨어진다는 사실이었다.마틴은 작은 새가 덩치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진화시켰기 ... ...
- [과학뉴스] 밥이냐 여자친구냐과학동아 l2014년 11호
- ODR-10 수용체 수가 적어지면 먹이에 대한 관심도 줄어든다. 실제로 수컷은 먹이를 발견해도 먹이 옆을 곧장 떠나곤 했다. 반면 ODR-10이 많이 발현되는 암컷은 먹이 옆을 떠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팀은 수컷이 굶어 죽을 지경이 돼도 암컷을 택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오랫동안 굶주린 수컷은 ...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기록자의 이름, 즉 신종헌터의 이름도 함께 남는다는 것”이라며 “내가 2004년 발견한 새로운 박테리아 문(問)인 ‘렌티스페레’에는 늘 나의 성 ‘CHO(조)’가 따라붙는다”고 말했다.과학동아 카페는 과학 지식에 목마른 일반인과, 현장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과학자가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는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간경화 등과도 구분이 안 됐다. 백 교수팀이 발견한 표지 단백질은 간암 환자에게만 발견된 것으로 초기 간암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세계 단백질 연구, 한국이 주도HUPO 현장에서는 한국인 과학자의 리더십이 돋보인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다. HUPO의 창립 멤버이자 회장을 지낸 백 교수는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하던 중, 박막을 전자빔으로 때리자 N형이던 반도체가 P형으로 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마그네슘을 입힌 P형 질화갈륨 반도체를 얻는 데 성공한다. 연구팀은 마침내 1992년 최초의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아직 산업화에 한계가 있었다. 마그네슘이 문제였다. 정공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상동)을 짓고 있어 매우 안정돼 있다. 그러나 Y 몰락설은 여전히 유효하다. Y 염색체에서 발견된 핵심 유전자의 수가 아직 적기 때문이다. 그레이브즈 교수는 “현재는 Y 염색체 몰락이 잠시 소강상태에 머문 것에 불과하다”며 “두더지들쥐나 고슴도치 중에는 Y 염색체가 아예 없는 동물 종도 ...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라그랑주점에 최초로 도착해 태양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태양에서 불어오는 태양풍을 발견하게 된 것도 ISEE-3호의 공이 컸다. (라그랑주점 : 지구와 태양이 서로 당기는 힘(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이다. 탐사선이 라그랑주점에 도착하면 태양이나 지구에 끌려가지 않고 정지한 채 궤도를 유지할 ...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