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있다. 올해만 해도 고려대 의대와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남극에서 신종 아데노바이러스를
발견
했다. 우리 신종헌터들은 이미 '생물자원 특허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부위가 있으며, 감정이 담긴 얼굴을 봤 을 때 이 부위가 더 강하게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는 인류가 다 른 사람이 얼굴에 드러내는 감정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진화했다는 뜻이다.보다 고차원적인 판단에도 얼굴이 관여한다. 올해 8 월에는 사람들이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이 믿을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부모님과 스킨십을 나눠 보세요. 어느새 가족 모두의 몸과 마음이 건강해진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을 거예요!아빠의 스킨십이 자녀를 바꾼다!우리나라에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가부장적인 가정이 많이 있어요. 보통 엄마는 너그럽고 편한 반면, 아빠는 어렵고 무서운 존재라는 이미지를 떠올리기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살짝 엿볼 수 있다.프랑스의 수학자 카미유 조르당은 어느 날 원을 그리다 중요한 사실을
발견
했다. 원 안쪽을 색칠하면, 원이 안과 밖으로 나누어진다는 점을 알아낸 것이다. 조르당은 이 내용을 확장해, ‘원처럼 도형을 그릴 때 시작점과 끝점이 만나 하나의 도형을 이루면, 이 도형은 안과 밖으로 ... ...
에볼라 쇼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976년 처음 에볼라가
발견
된 이래 이토록 많은 사람이 감염된 사례는 처음이다.WHO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건 2009년 신종플루 사태와 지난 5월 소아마비의 재발 이후 세 번째다.그동안 풍토병(Endemic)에 그쳤던 에볼라가 유행병(Epidemic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물질의 응집력과 조석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로시 한계’ 근처부터는 외계행성이
발견
되지 않는다. 물론 중심별이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서 부풀어 올라도 가까이 있는 행성을 삼켜버릴 수 있다. 우리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으므로 어떤 상황에서도 태양에 삼켜지지는 않을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독도에서는 처음
발견
된 해양생물도 7종이나 됐다. 명 소장은 “독도 연안에서
발견
된 해양생물은 현재까지 100여 종을 넘는다”며 “‘독도가 아열대바다가 됐다’는 말도 있지만 아직 이르고 길게 관찰해야 결론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생태지도는 이걸로 끝이 아니다. 해양과기원은 2017년까지 1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기존 환경과 다르기 때문에 에볼라가 증식하고 복제하기 어렵다. 코빙거 박사가
발견
한 공기전염 사례는 그럼 어떻게 된 일일까. 그는 최근 자신의 연구를 뒤집는 논문을 발표했다. 7월 25일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연구자들이 동물우리를 물로 청소하다가 체액이 튀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담겨 ... ...
‘닭벼슬’ 달린 익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추정했다. 연구를 이끈 고생물학자 알렉산더 켈너 박사는 “익룡은 주로 해안가에서
발견
되는데 이번 연구로 오아시스가 있는 내륙의 일부 지역에서도 서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한 장소에 모여 살다가 사막의 폭풍이나 지독한 가뭄에 몰살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 ...
태양, 표면보다 대기가 뜨거운 이유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발사한 관측 위성 ‘유니스(EUNIS)’를 통해 관측한 결과, 가설을 뒷받침할 강력한 증거를
발견
했다.유니스는 15분 동안 태양의 주위를 돌며 6분 동안 1.3초마다 태양의 온도와 태양이 내는 빛의 파장을 조사했다. 그 결과 태양이 평소에 내는 빛의 파장과 다른 극자외선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