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물질의 응집력과 조석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로시 한계’ 근처부터는 외계행성이
발견
되지 않는다. 물론 중심별이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서 부풀어 올라도 가까이 있는 행성을 삼켜버릴 수 있다. 우리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으므로 어떤 상황에서도 태양에 삼켜지지는 않을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독도에서는 처음
발견
된 해양생물도 7종이나 됐다. 명 소장은 “독도 연안에서
발견
된 해양생물은 현재까지 100여 종을 넘는다”며 “‘독도가 아열대바다가 됐다’는 말도 있지만 아직 이르고 길게 관찰해야 결론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생태지도는 이걸로 끝이 아니다. 해양과기원은 2017년까지 1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중첩상태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동시다발적 계산이 가능하다. 그루버가
발견
한 양자 찾기 알고리듬이 기존 방식보다 빠른 이유도 한꺼번에 여러 개를 탐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자컴퓨터 안에서 중첩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측정 당하지 말아야 한다. 즉 결어긋남(decoherence)을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지극히 낮아 보이거든요.그나저나 에디슨이 귀신의 목소리를 듣고 지하실에서 관을
발견
했다는 이야기는 어디서 나온 걸까요? 꿈속에서 증조할아버지가 나타나 “숨이 막힌다”고 해서 무덤을 파보니 나무뿌리가 시체를 감고 있더라는 전설과 비슷하지 않나요? 어딘가 한국적인 분위기가 풍기는 걸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
발견
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적다. 발굴 며칠만에 어지간한 공룡뼈 화석은 거들떠도 보지 않게 됐다.➊ 이융남 관장이
발견
한 거대한 발자국 화석을 몽골학술원 고생물학센터 이뜨레쌔홍 연구원이 차량까지 옮기고 있다.➋ 발굴팀 송정현 씨가 용각류 골반뼈 화석을 발굴도구로 세심하게 발굴하고 있다.➌ 울란바타르의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반대로 숙주인 애기장대와 토마토에서도 새삼의 전령RNA가 각각 0.6%, 0.38% 있다는 사실도
발견
됐다. 연구팀은 이것이 새삼과 숙주가 서로 전령RNA를 주고받는 것으로 해석했다.연구팀은 “새삼은 숙주의 전령RNA를 얻어 숙주의 방어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 같다”며 “이 연구를 역으로 이용하면 ... ...
태양, 표면보다 대기가 뜨거운 이유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발사한 관측 위성 ‘유니스(EUNIS)’를 통해 관측한 결과, 가설을 뒷받침할 강력한 증거를
발견
했다.유니스는 15분 동안 태양의 주위를 돌며 6분 동안 1.3초마다 태양의 온도와 태양이 내는 빛의 파장을 조사했다. 그 결과 태양이 평소에 내는 빛의 파장과 다른 극자외선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편의를 위해 잘못된 공법을 이용한 셈이다.70m 길이의 동공이 무너져 내리기 전에 미리
발견
한 것은 천운이었다. 그러나 늘 이런 천운이 오는 것은 아니다.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했다. 지금까지 있었던 수많은 사고를 보면 가장 큰 문제는 기술부족이 아니라 인간의 자만심과 작은 징조를 무심코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발견
했다. 엑소마스다! 최첨단 장비를 지녀서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했는지 흔적을
발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받은 녀석이다. 하지만 먼지폭풍으로 태양전지가 작동되지 않아 10여 년 간 방치돼 있었다. 수리해 사용하면 아이스브레이커(Icebreaker)로 코어를 얻는 것보다 화성의 지질 탐사 및 바이오돔 ... ...
카시니호가 보여 주는 가장 아름다운 천체 토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육각형 구름’ 또는 ‘육각형 제트류’라 부르는데, 보이저 호가 1980년대에 처음
발견
했죠. 작아보이지만 실제는 구름에 지구 두 개가 쏙 들어갈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크답니다. 과학자들은 육각형 구름에서 가스가 초속 100m 정도로 돈다고 생각해요. 어떻게 육각형으로 회전하냐고요? 2008년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