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4,72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09
가장 근접했으며 22세기 중반까지 계속해서 서로 멀어질 것이다. 이 쌍은 지구에서 19광년
밖
에 안 떨어져 있으며 이 거리는 우주에서 상대적으로 아주 가까운 거리다. 망원경 속의 보석은하수가 하늘의 북극에 가장 가까이 뻗어 있는 곳이 카시오페이아자리 근처다. 이곳은 '우유'가 두껍게 흐르는 ... ...
6. 근거리 통신망(LAN)의 비약적 발전
과학동아
l
199109
안보이게 된다든지 전화선을 이용할 경우 속도가 늦기 때문에 1초에 한글 1백20자 정도
밖
에는 못보낸다. 편지의 크기가 작다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낼 경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사람들은 새로운 방식을 연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09
소요된다. 한편에서는 현재의 로켓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구
밖
에다 생산거점을 확보하고 여기서 물자를 만들어 우주개발에 활용하려고 하고 있다.현재는 우주정거장인 '프리덤'이 지구외에 만들어진 유일한 생산거점이지만, 이는 생산거점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정거장에 ... ...
열기 시들해진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109
'뉴로컴퓨터'등 컴퓨터에 대한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해 제5세대 컴퓨터가 사람들의 관심
밖
으로 밀려났다는 것이다. 통산성은 뉴로컴퓨터를 핵심으로 하는 '제6세대 컴퓨터'프로젝트를 앞으로 10년간 시작할 움직임마저 보이고있다. 제5세대 컴퓨터는 운명을 다했지만 그의 자손들인 여러 새로운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09
참으로 꼴불견이지만 어미 고슴도치는 더없이 지극한 모성애로 새끼를 돌본다. 이
밖
에도 고슴도치의 특이한 외모때문에 많은 속담이 전해오고 있다.한국의 고슴도치는 식충목(食虫目) 고슴도치과(科)에 속하는 동물로 학명은 Erinaceus europaeus koreansis이며 영명(英名)은 Korean hedgehog이라고한다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09
정밀도가 50%
밖
에 안된다면 아무리 강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고 해도 그 강도의 50%
밖
에 이용할 수 없다. 그 이하를 사용하면 건물의 안전에 대해 아무도 보증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1931년에 완공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1층은 유효면적이 40% 정도 된다고 한다. 즉 바닥면적의 60% 정도를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09
수학자 물리학자가 모인 학회에서 지구의 연령은 수십억년이라고 언명했는데 뜻
밖
에도 그 주장은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일부 물리학자는 그들의 선배가 제시한 1억년설을 그대로 믿으려는 기색을 역력히 내보이기도 했다.1926년 미국의 과학아카데미 국가연구평의회는 산하에 지구연령에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09
빙하가 후퇴했다. 옛날에는 개썰매로 섬 사이를 왕래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배로 갈 수
밖
에 없게 되었다. 약 1.5m의 극빙(極氷)이 녹았을 뿐 아니라 많은 고분과 농경지 유적이 드러나게 되었다.빙산도 덩달아 북상했다. 대구의 수확량도 1946년에는 1천3백t에 이르렀다. 이는 1910년에 비해 2천5백배나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09
수명이 매우 짧다. 하루살이는 성충이 된 다음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기 때문에 2, 3일
밖
에 살지 못한다. 그러나 실제 이들은 늪 바닥에서 2년동안 유충으로 생활하는데 30회 이상 탈피해야 성충이 된다. 하루살이의 날개는 아주 얇고, 다리는 걸을 수 없을 정도로 약하다. 성충은 먹이를 먹지 않으므로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09
수 있는가는 너무 줄여버린 키보드의 성공 여부에 달려 있다. 겨우 손가락 한두 개 정도
밖
에 움직일 수 없는 키보드는 오히려 손놀림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오타율이 높으며 작은 화면에 많은 글자를 나오게 하기 위해 글씨를 너무 작게 만들어 읽기가 힘들고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이 있다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