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4,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06
1년 가까이 넘기고서야 로스알라모스에 인도되었으나, 애당초 요구한 속도의 25%
밖
에 내지 못했다. 게다가 낮은 신뢰도 때문에 인도가격은 원래 계약된 1천3백만달러에서 반정도가 깎인 8백만달러였다. 그뒤로 8대정도를 다시 주문받았지만 IBM의 총손해액은 2천만달러에 달했다.IBM과 유니백(나중에 ... ...
이상 기후로 지중해 돌고래들 떼죽음
과학동아
l
199106
공해때문인지, 아니면 막대한 바이러스균의 존재나 양분생산의 절대적 위기, 혹은 그
밖
의 다른 무엇 때문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지 못했다"고 아귈라 박사는 말한다.정확히 얼마나 많은 돌고래가 죽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몇몇 생물학자들은 바다에서 죽어 발견되지 않은 돌고래가 해변에 떠밀려 온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06
연구하는데 반응속도론 입체화학 전기 화학 유기합성반응 등이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
밖
에도 여러가지 화학적 분석수단이 단백질 연구에 필수적으로 적용된다. 의·약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는 효소 촉매반응의 결함 또는 세포내 특정단백질 생합성과정의 이상에 따른 세포의 형질변형(암세포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06
물질이 입사하는 빛의 80% 이상을 반사하는데 반해서 천왕성의 고리물질은 겨우 5% 정도
밖
에는 반사시키지 못한다. 이 물질은 주로 검은 탄소물질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 물질들은 어쩌면 토성 주위를 돌던 작은 위성이 지구 크기의 천체와 충돌을 일으켜서 부서져 생긴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06
열렸던 최근의 한 간담회에서는 석사학위를 줄 수 있는 대학은 전국에서 두서너곳
밖
에 없으며, 입학이 곧 졸업이라 할 정도로 대학의 학점이 무르고, 실제 총장의 일을 하는 총장은 한 사람도 없을 뿐 아니라 30대 초반에 대학 교수가 되면 65세까지 아무런 평가없이 계속 그 권좌를 누리고 있고,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06
사고로 사망했고 그 경위가 자세하게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으니 갖은 억측이 난무할 수
밖
에 없었다. 더구나 그는 2차대전중 원폭제조를 총지휘했던 핵물리학자 페르미를 기념해 만든 페르미연구소의 이론물리부장이었으며, 당시 활발했던 해외과학자들의 국내유치계획에 따라 '조만간 귀국할 것 ... ...
한글코드 「조합형」으로 바꿔야
과학동아
l
199106
문제가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통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완성형을 채택할 수
밖
에 없다는 것이다. 몇차례 여론수렴을 위한 공청회도 열렸으나 업체들간에 이해관계가 엇갈려 결론이 나지 않았다. 결국 통신론자들의 주장대로 국가표준은 완성형으로 결정됐다. KS코드가 강제사항이 아니고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06
이 구부러진 공간은 4차원의 시공간(時空間)이기 때문에 그 곡률의 표현이 복잡해질 수
밖
에 없다. 일반상대론을 지지하는 네가지 증거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네가지 방법이 쓰인다.첫째는 중력에 의한 빛의 파장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빛이 태양에서 지구로 올 때 빛은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06
때문에 피해를 심하게 입는다. 환경에 적응하는 식물을 관찰해 보면 환경문제를 푸는 뜻
밖
의 열쇠가 주어질지도 모른다. 예컨대 활엽수와 침엽수의 생리적 기능을 환경문제와 연결시켜 생각해보면 교과서적인 생물지식을 우리 생활주변의 환경문제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4. ② 날로 심각해지는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06
아래 지평선 위에서 비슷한 밝기로 빛나는 별은 처녀자리의 스피카(보리이삭)다.오늘밤
밖
으로 나가 두 별을 관찰해 보자. 자세히 보면 아래의 별이 더 심하게 반짝거리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왜 아래의 별이 더 반짝일까. 그 별이 원래 더 심하게 반짝이는 별이라서 그럴까. 좀 더 주위의 별들을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