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대구나 다른 냉수성 품종을 사육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연구팀은 고도불포화지방산(EPA, DHA) 같은 영양성분이 든 고에너지 명태 전용 배합사료도 개발했다. 명태가 잘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 결과 연구팀이 사육하는 명태는 자연 상태에서보다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벨 연구소에서 강 박사와 어울릴 당시에는 그렇게 대단한 발명을 한 사람인지 몰랐다”고도 말했다. 아직 모스펫이나 플로팅 게이트가 상용화되기 전이었기 때문이다. 강대원 박사는 종종 한국인 연구자들을 모아 저녁식사를 하거나 탁구 치는 것을 즐겼는데, 승부욕과 열정이 대단했다고 한다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조만간 입주할 예정입니다). 이들이 모두 스카이브릿지로 연결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각각의 건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건물 바로 옆엔 교토대 종합병원이 있어서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들과 협업하기도 쉽습니다.실험시설과 행정지원이 워낙 ‘빵빵하다’고 알려지다보니(젊은 과학자들을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증명할 수 있게 됐답니다.1976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위성에 원자시계를 달아 1만km 고도로 쏘아 올렸어요. 그 결과 위성의 속도가 빠를때는 시간이 느리게 가고, 중력이 약한 우주에서는 시간이 빠르게 간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지난 2010년에는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땅에서 33cm만 높아져도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연료를 사용하거나, 기존 9~10km보다 낮은 6km 정도의 고도에서도 대형 비행기가 다닐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와일드 교수는 “지금은 전문가들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내려오는데, 이 속도 그대로 표면에 도착하면 바닥에 충돌해 버리고 말거예요. 그래서 고도 7km에서 낙하산을 펼치고, 1.1km에 도달하면 역추진 엔진을 작동했어요. 그럼 착륙선의 속도가 점차 줄어들면서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지요.그런데 착륙 과정에서 낙하산이 일찍 펴졌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우주로 쏘아올린 ‘그레이스(GRACE)’와 ‘챔프(CHAMP)’라는 쌍둥이 위성이에요. 두 위성은 고도 450km 상공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돌아요. 그러다 지구의 중력이 달라지는 지역을 지나면 두 위성이 멀어지거나 좁아지는데, 이 거리를 이용해 중력을 측정하지요.달이나 다른 행성의 중력장 지도도 ... ...
- [가상인터뷰] 두 달 동안 쉬지 않고 훨훨~! 큰군함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이후 천천히 활강을 하는 식으로 비행을 했던거예요. 이렇게 하면 공중에 떠오르거나 고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날갯짓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에너지를 최대한 아낄 수 있답니다.또한 보통 새들은 갑작스러운 기류의 변화가 일어나는 구름을 피해서 비행하는데, 큰군함조는 오히려 구름 속으로 ... ...
- [핫이슈] 나는야 바둑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수 있어요. 하지만 게임을 하는 동안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펼쳐지기 때문에 이기려면 고도의 전략이 필요해요. 바둑을 두는 동안 상대방의 의도를 예측하고 다음 수를 계산하는 연습을 하게 되는 이유예요. 덕분에 바둑을 배우면 배울수록 집중력과 사고력력을 기를 수 있답니다.올여름엔 ... ...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비법이 있었나요?초등학교 때부터 줄곧 수학 경시대회에 나가 상을 탔어요. 민족사관고도 자연계열 특기생으로 입학했어요. 그때는 수학 문제를 푸는 게 삼시세끼 밥을 먹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일이었어요. 저는 질문이 참 많은 아이였는데, 꼬리에 꼬리를 물고 질문을 하면 그때마다 중학교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