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김 교수는 최근 우주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며 항력 돛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고 했다. 고도 450~700km 사이에는 전세계가 쏘아 올린 위성 수백 개가 아슬아슬하게 서로를 피해 궤도를 돌고 있다. 영국 사우스햄프턴대 휴 루이스 교수는 2014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국제우주대회’에서 “200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간의 뇌가 경쟁에 맞도록 이미 방향이 정해져 버렸다는 것은 아니다. 인류가 지닌 고도의 사회적 인지 능력이, 무제한의 경쟁이라는 결과를 낳을지 혹은 발전적 협력이라는 결과를 낳을지는 바로 우리의 선택에 달려있다.인류학자 마샬 살린스는 인간의 생물학적 조건과 생태적 제한이 진화의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상대로 치열하게 방어전을 펼치고 있는 위대한 존재다. 먹이를 둘러싼 이들의 고도의 차별화 전략은, 오늘날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는 우리 인간에게도 훌륭한 귀감이 된다 ... ...
- [Tech & Fun] 고담(GOTHAM)의 ‘풍선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습니다. 바로 라디오존데용 풍선입니다. 라디오존데는 지상에서 고도 30km까지 고도별 기압과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관측하는데 쓰는 작은 기구입니다. 이런 풍선은 보통 비중이 작은 헬륨(He)기체를 이용합니다. 공기의 비중을 1이라고 했을 때, 헬륨은 0.138이니까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죠. ... ...
- [소프트웨어] 수학 알면 롸져~ 나도 파일럿!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하지요.이 지시를 무시하면, 아까 저처럼 비행기와 함께 고꾸라질 수 있어요. 비행기의 고도와 속도만 낮춰서는 착륙에 성공하기 어렵기 때문이지요. 예를 들어 착륙 시에는 관제소에서 ILS로 설정하고 헤딩을 돌리라는 지시가 떨어집니다. 지시에 따라 착륙장치를 내려야 바퀴와 기타 기계장치들이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저자인 아루니마 말릭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에서 육류와 고도의 가공식품, 에너지집약형 상품과 서비스를 많이 소비하는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한국, 소고기와 의류로 질소 배출연구팀은 2010년 전세계 산업과 농업 분야에서 배출한 질소 1억6100만t 가운데 26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개발한 우주선 ‘스페이스쉽2’는 약 110km 고도까지 올라갔다가 지구로 내려와요. 보통 고도 100km를 지구 대기와 우주의 경계선이라고 해요. 따라서 스페이스쉽2를 탑승하는 시간은 총 2시간 반 정도지만, 우주에 머무르는 시간은 10분도 채 되지 않지요.그럼에도 불구하고 2014년까지 약 700명의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것도 태양풍 플라스마의 영향이다. 태양풍 플라스마는 어떻게 직접 지구로 들어오지 않고도 강력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걸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4개의 위성군으로 구성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agnetospheric Multi-Scale, MMS) 위성을 지난해 3월 발사했다. MMS 위성은 지구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부를 수 있는 표준층서구역으로는 1945년에 한 핵실험이 꼽힌다. 뉴멕시코 알라모고도에서 실시된 핵실험으로 플로토늄-239 등 이전에 없던 방사성 물질이 세계 곳곳에서 발견됐다.인류세 자체를 부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홀로세가 시작된 지 1만1000년밖에 되지 않았고, 급격한 변화가 시작된 지도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류를 낸 것이라고 봐야 할까, 아니면 인간이 미처 생각지 못한 문제까지 고려한 고도의 계산 결과라고 받아들여야 할까. 이 연구원은 “인간은 절대 알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로지 환자가 처한 상황과 그 사회의 도덕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인간 의사가 최종 결정을 내려야겠죠. 비단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