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자신이 가진 데이터 내에 새로운 것을 편입시키는 내삽(interpolation)에만 뛰어나다고도 볼 수 있다. 비슷한 사례가 기계학습을 오랫동안 괴롭힌 과적합(overfitting) 문제다. 과도하게 적합해서 문제라는 뜻으로, 학습된 데이터에 너무 익숙해져서 실제로 풀어야 할 문제는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것도 태양풍 플라스마의 영향이다. 태양풍 플라스마는 어떻게 직접 지구로 들어오지 않고도 강력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걸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4개의 위성군으로 구성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agnetospheric Multi-Scale, MMS) 위성을 지난해 3월 발사했다. MMS 위성은 지구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격추시키기도 하나요?정윤찬 네, 맞습니다. 요즘 신문에 많이 나오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는 미사일을 쏘아 올려 적군이 쏜 미사일을 격추시키는 것인데, 레이저를 이용하면 정확도가 훨씬 높습니다. 미사일은 속도가 음속의 7~8배, 즉 마하 7, 8 정도인데 레이저는 빛의 속도니까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줄기러기(Anser indicus )는 아주 먼 거리를, 그것도 산소가 몹시 희박한 히말라야의 높은 고도를 비행하는 새로 유명하다. 과학자들이 줄기러기가 비행을 앞두고 어떤 생리학적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한 결과, 근육에 산소를 저장하는 물질인 미오글로빈의 수치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각도 5°) 완전한 안전 거리인 5.5km에서 안전 고도는 483m에 불과하다. 사드 배치 후보지와 주거지 사이의 거리가 5.5km보다 짧은 경우도 있다.세계보건기구(WHO)는 1999년 6월 발표한 ‘레이더와 건강 영향에 대한 보고’에서 “안전 기준 이하로 노출된 사람에서 암을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복잡하고 기묘하다. 누가 본다면 그 화려한 광경이 온 몸이 짜릿짜릿할 정도로 아름답다고도 한다. 하지만, 마젤란 성운쪽에서 온 것이 자기 소개를 한 내용을 옛날 내가 그냥 1인분이었을 때의 언어로 최대한 단순화해서 말하자면, 그 내용은 이런 것이었다.자기가 바로 박승휴라는 것이다.내가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기대하고 있다.금성은 크기와 밀도가 지구와 매우 비슷해서 지구의 ‘쌍둥이 행성’이라고도 불린다. 이런 금성이 어떤 이유에서 지구와 전혀 다른 기후로 발달했을까(금성의 표면 온도는 465℃까지 올라가고, 대기가 극도로 두꺼워 지표 부근 기압이 지구 대기압의 92배에 이른다!). 그 과정을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연구팀으로, 이온트랩을 이용해 8개까지 성공했다. 8개와 1097개, ‘하늘과 땅’ 차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논문에는 전혀 없다. 배준우 한양대 응용수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100개가 안 되는 큐빗으로도 기존 컴퓨터는 따라잡지 못할 성능의 양자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며 “왜 ... ...
- 대기와 태양이 만드는 변화무쌍 날씨와 계절!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들어가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여름에는 태양빛을 받는 시간이 훨씬 길어져요. 또 태양의 고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같은 시간 동안 받는 태양에너지의 양이 봄이나 가을에 비해 늘어나지요. 그래서 기온이 높아지는 거랍니다.반면 겨울에는 태양빛을 받는 시간이 줄어들어요. 또 태양빛이 비스듬하게 ... ...
- 날아라! 태양광 무인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대류권인 고도 10km를 비행로로 이용해요. 고도 14km의 성층권은 온도가 영하 60℃이며, 고도 10km에 비해 공기 밀도가 53%밖에 되지 않아 일반 비행기는 날기 어렵지요. 하지만 구름이 없어 항상 태양빛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 무인기에게는 더 없이 날기 좋은 곳이랍니다.EAV-3는 날개 길이가 20m나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