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d라이브러리
"
대칭
"(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학을 사랑하는 N.O.M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붙여요.
대칭
패드의 아크릴 판에 점을 찍은 후에 판을 뒤집기만 하면, 그 직선에 대해
대칭
인 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어요. 김태형(3학년)작년에는 동아리원들이 만든 교구를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에서 전국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소개하기도 했다. 특히 몇몇 교구들은 과학축전을 방문한 교구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새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것은 엄청나게 발달한 가슴근육과 깃털의 구조 덕분이다. 비
대칭
, 즉 깃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길이가 다른 깃털은 위로 떠오르는 양력을 최대한 받을 수 있는 구조다. 갈릴레오의 실험에서 나오듯이 피사의 사탑에서 깃털을 떨어뜨리면 한참이나 지나야 땅에 떨어질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옆면은 40.75°, 위쪽 옆면은 34.5°여야 한다. 그리고 이때 세로축을 기준으로 완벽한
대칭
을 이뤄야 한다.그런데 안타깝게도 톨코프스키가 고안한 이 방법에 딱 맞는 다이아몬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종종 원석을 많이 깎아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현재는 브릴리언트 커트를 제작할 때 ... ...
[W5 코드 브레이커] 인터넷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암호체계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부르는 새로운 방식의 암호체계를 발표했다. 디피와 헬먼이 만든 암호화 기법은
대칭
암호와 달리, 암호를 만드는 방법과 복호화 하는 방법이 달라서 비밀키가 누출될 위험이 적었다. 암호를 만드는 방법은 누구나 알 수 있지만, 암호를 푸는 비밀키를 가진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 ...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춤추는 두 남자’라는 공연을 시작으로 춤을 이용한 수학 교수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대칭
성을 다루는 ‘군론’을 가르칠 때 학생들 다 같이 군무를 추도록 한다. 학생들은 단체로 춤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수학적인 개념을 습득하게 된다. 그 동안 이들의 춤을 본 관중은 수십만 명에 달하며, ... ...
[W5 코드 브레이커] 새로운 암호를 등장시킨 컴퓨터의 발전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복잡한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암호를 만든다는 점이 과거와 다르다. 이렇게 만들어진
대칭
암호는 1970년대 말까지 비교적 안전한 암호체계로 컴퓨터 정보 보안에 이용되었다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바로 ‘
대칭
’에 있다. 모든 패턴은 기본 패턴 요소를 7가지 방법으로 이동시켜서 만든
대칭
도형이기 때문이다. 그 7가지 방법이란 회전과 평행이동, 수평과 수직 변환을 조합한 것이다.예를 들어 사람이 한 발로 뜀뛰기를 할 때 생기는 걸음걸이(한 발 뛰기)는 평행이동을 하면 서로 겹쳐진다. ...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43234’와 같이 왼쪽부터 읽거나 오른쪽부터 읽어도 같은 수를 ‘팰린드롬 수’ 또는 ‘
대칭
수’라고 부른다.그런데 팰린드롬 수와 관련해서는 재밌는 알고리즘이 하나 있다. 1984년 미국의 컴퓨터 학자인 그루엔버거는 팰린드롬 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을 발표했다. 어떤 수라도 이 알고리즘을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생기는 경우의 수를 모두 보드게임 말판처럼 평면 위에 늘어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를
대칭
으로 만들어 입구에서 출구(먹이가 있는 곳)까지 이어지는 최단 거리가 하노이의 퍼즐을 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게 했다. 입구에서 출구까지 갈 수 있는 경우의 수는 3만 개가 넘었다.연구팀이 미로 입구에 50 ... ...
네안데르탈 학당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좌우 비
대칭
입니다. 이것은 언어가 특히 좌뇌와 관련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좌우 비
대칭
뇌는 몸의 좌우 중 자주 쓰는 쪽을 만듭니다. 그래서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처럼 한손잡이가 생깁니다.만약 네안데르탈인이 한손잡이라는 사실을 알면 뇌가 언어를 쓸 수 있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