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표
도식
그림표
차트
챠트
그림꼴
도형
뉴스
"
그래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이마 온도는 34도 내외인데, 열이 있어 이보다 높으면 적외선 스펙트럼 패턴이 달라(
그래프
가 짧은 파장 범위에서 살짝 올라간다) 모니터에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설비나 기계에서 나오는 폐열은 대부분 100~400도 범위로 흑체복사 스펙트럼의 피크 범위가 파장 4~8㎛(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 ...
"한 시간에 균 99.9% 제거" 항균 효력 높인 은나노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왼쪽은 대장균을 대상으로 항균 시험을 한 결과 사진이고, 오른쪽은 항균 비율을 비교한
그래프
다. 재료연구소 제공 이승훈 선임연구원은 “항균소재와 저온 플라스마 기술을 실내공조에 적용시켜 부유균 살균과 바이러스 비활성화가 가능한 공조부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2023년까지 기초 실증을 ... ...
서울·수도권 환자 증가세 여전..."대구 제외하면 하락세 안 보여"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23일 공개한 서울(왼쪽) 및 수도권 지역의 코로나19 신규 환자 발생 추이
그래프
다. 전국
그래프
처럼 최근 들어 발생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발견되지 않는다. 대구 경북 집단 감염에 가려졌지만, 서울과 수도권은 꾸준히 수십 명의 환자를 내고 있으며 그 추세는 전혀 꺾이지 않았다. ... ...
연구 홍보하고 컴퓨터언어 배우라…코로나 사태로 재택하는 과학자를 위한 10가지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아르(R)’ 같은 컴퓨터 언어나 ‘레이텍(LaTeX)’ 같은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배우면
그래프
나 논문을 만들기 쉬워진다는 것이다. 또 컴퓨터 속 미완성 연구나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를 찾아 정리하다 보면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을 수 있다며 ‘컴퓨터 털기’도 시도해 볼 것을 조언했다. 온라인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감염병 사태는 표심을 바꾼다
2020.03.21
달 30일까지와 일주일 뒤인 10월 1일부터 같은 달 7일 사이의 지지율 변화를 보여준다.
그래프
에서 볼 수 있듯, 에볼라가 터지기 전에 비해 후에 공화당 지지율이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알렉 빌 교수연구팀 자료 또한 연구자들은 구글에서 에볼라 검색 수와 지지율 변화 추이 간 상관을 ... ...
"칼레트라 효과 불분명, 클로로킨은 효과"…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안개속'
동아사이언스
l
2020.03.20
주장했다. 프랑스 연구팀이 코로나19 환자의 가검물에서 바이러스 검출률을 추적한
그래프
다. 일반 환자에 비해 말라리아 치료제 클로로킨(하이드로클로로킨)을 투약 받은 경우 바이러스 검출률이 빨리 떨어졌고, 아지드로마이신을 병행 투약하면 6일 만에 바이러스 검출이 거의 사라졌다고 ... ...
길어지는 휴교 조치…감염 확산 막는 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밝혔다.
그래프
의 % 표시는 성인 인구 중 재택근무자 비율이다. 25%만 재택근무로 돌려도
그래프
상의 확산 정점기의 최대 감염자 수를 4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토리아 콜리자 교수 보고서 캡쳐 국내에서는 대한감염학회가 16일 공개한 대정부 권고안을 통해 “경계의 수준을 낮추지 ... ...
서울·경기 코로나19 환자 계속 증가세...국내 치명률 1% 근접
동아사이언스
l
2020.03.17
왼쪽)과 경기 지역의 코로나19 신규 환자 발생자 수(막대
그래프
)와 누적 환자수(꺾은선
그래프
)를 표시했다. 전국적으로 신규환자 발생자 수가 줄어드는 가운데, 서울과 경기 지역은 예외적으로 발생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 ...
KSTAR, 플라스마 1억도 8초간 유지 성공…세계 최장 시간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공개될 예정이다. KSTAR가 1억 도의 플라스마를 8초간 운영하는 실험에 성공했다(빨간
그래프
). 2018년 처음 1억 도를 돌파했을 때(파란
그래프
)에는 1억도로 약 1.5초 유지했다.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 ...
'전기화학 스위칭 소자' 쩍쩍 갈라 이온 고속도로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결정을 통과하는 것보다 이 면결함을 따라 움직일 때 수십만 배 빠른 속도(오른쪽
그래프
)를 보였다. 포스텍 제공 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이온이 소재 격자 내부의 면결함을 타고 흐르는 원리에 대해 근본적인 결과를 제시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얻어진 소재 원천기술은 이온 이동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