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표
도식
그림표
차트
챠트
그림꼴
도형
뉴스
"
그래프
"(으)로 총 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그래프
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
수학동아
l
2020.01.11
아이돌 그룹 엑소가 정규 6집 앨범 ‘옵세션(Obsession)’으로 돌아왔다. 진짜 엑소와 그에게서 복제된 가짜 엑소(x-엑소)가 동시에 컴백했다는 ‘신박한’ 설정으로 ...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2020년 1월호,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그래프
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한다는 정황증거를 제시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영욱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정리한
그래프
다. 세로축의 '허블차이값'은 검은 점선으로 표시된, 우주에 암흑에너지가 없을 경우의 초신성 밝기와 실제 관측갑 사이의 차이다. 초신성의 광도 차이에 의해 측정되는 허블상수 오차가 광도진화에 ... ...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 공동추진목표의 이행상황을 평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4
노란색의 선도 볼 수 있다. 위아래로 들쑥날쑥한 모습은 흡사 어떤 추세를 나타내는
그래프
처럼 보인다. 지앙궈 리우 미국 미시간주립대 시스템통합및지속가능성센터 교수 연구팀은 2015년 유엔 총회가 채택한 전세계 공동추진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이행상황 정량화 방법을 ... ...
[주말N수학]"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엔 고교 수학이 들어있죠"
수학동아
l
2019.12.28
데이터는 두 개의 신호가 합쳐진 신호다. 여기서 원하는 신호만 걸러낼 때 삼각함수의
그래프
개념이 필요하다. 스마트 벨트에서 얻은 신호를 바탕으로 원하는 건강 정보를 얻을 때는 ‘회귀식’을 사용한다. 회귀식은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된다고 가정하고 두 변수의 관계를 식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현대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
2019.12.21
물었다. 그 결과 서로 다른 국가들에 걸쳐 놀라우리만치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아래
그래프
는 27개국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각각의 관계적 목표들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보여준다. 새로운 연인 만들기가 가장 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에 안정적으로 소속되기, 친밀감 느끼기, ... ...
국가R&D 투자 최고 수준이라는데…여전히 초라한 연구자 1인당 연구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8
나타났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주요국의 전체 산업대비 하이테크산업 비중 변화를
그래프
로 표시했다. 한국은 10년째 세계 최고 수준으로 하이테크 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산업별로는 OECD가 정의한 ‘하이테크 산업’의 비중이 높았다. ... ...
[주말N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
2019.12.14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그래프
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됐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12월호 [엄상일 교수의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상평형
그래프
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이 얼음이나 수증기로 바뀌는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
다. 그렇다. 물은 온도가 아닌 압력으로도 상태가 변할 수있다. 약 영하 22도에서 0도 사이의 얼음은 온도를 높이지 않고, 압력만 높여도 물로 바뀐다. 과거 여러 과학자는 이를 근거로 스케이트 날이 얼음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상대적인 비율이 줄뿐이지 절대적인 발생 빈도는 여전히 늘어나는 것 아닐까. 아래
그래프
는 연령대별 발병률을 보여주는데 놀랍게도 암은 75~84세가 정점이고 그 뒤로는 소폭이지만 감소세로 돌아선다. 반면 심혈관계질환은 꾸준히 늘어난다. 치매는 60대에야 무대에 등장하지만 그 뒤 급격히 ... ...
[인류와 질병] 우리는 왜 위험한 선택을 할까···질식분만의 진화
2019.11.30
키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으면 여러모로 불리하다. 그래서 인구집단 전체의 신장을
그래프
에 그려보면 평균을 중심으로 높게 솟은 형태를 취한다. 신생아 체중도 그렇다. 약 2.5~5kg 사이에 수렴한다. 이보다 작거나 크면 생존률이 크게 떨어진다. 그런데 제왕절개가 보편화되면서 아주 작은 아기나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