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표
도식
그림표
차트
챠트
그림꼴
도형
뉴스
"
그래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국내 최초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AI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한 환자의 뇌 MRI 영상을 분석하는 데 약 1분이 걸리며
그래프
를 활용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위험성을 나타낸다. 또한 혈관성 치매 진단 시 활용 가능한 백질 고강도 신호도 제공해 치매를 포함한 여러 가지 뇌병변 진단을 돕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
2020.02.04
유전형인 아이들이 솎아진 게 누적된 결과다. 각 시대의 나이에 따른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행기 타는 게 부끄러운 사람들
2020.01.29
비행기 여행에 상당한 탄소세를 물리는 식으로).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
로 오른쪽은 클로즈업한 상태다. 자녀를 한 명 덜 가지면(have one fewer child) 연간 58.6톤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를 덜 쓴다. 유럽과 북미를 오가는 비행기 여행을 한 번 줄이면(avoid one round-trip transatlantic ... ...
"서울·인천·제주, 중화권 다음으로 신종 코로나 위험 높은 지역" 美 연구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0.01.28
했다. 존스홉킨스대 교수팀이 추정한 중국 내 감염자 수 모델링 결과(빨간
그래프
)는 실제 중국 당국 발표 결과(파란
그래프
)와 많이 다르다. 존스홉킨스대 제공 ... ...
[주말N수학]질병을 진단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20.01.25
그래프
와 아주 유사하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즉 제가 만든 알고리즘은 측정 결과가 이
그래프
와 얼마나 유사한지 일치율을 비교해서 질병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30만 건 이상의 실험 데이터를 이용해 기존 분석 방법과 비교한 결과 기존 방식에서 발생하는 판정 오류를 99% 이상 없앴다. 현재 ... ...
세계 10대 화합물 '염소' 값싸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활성이 없는데(점선), 이는 부반응이 없다는 것이다. 오른쪽은 염소 발생 반응의 선택성
그래프
로 DSA는 전해질에 따라 영향을 받으나 Pt₁/CNT는 전해질 조성과 관계없이 선택성이 100%에 가깝다. UNIST 제공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밝기가 크게 떨어지고 있어 폭발이 임박한 게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밝기
그래프
를 보면 1970년대 말 관측을 시작한 이후 지난해 말 가장 낮은 밝기를 보이고 있다. 미국변광성관찰연합 제공 초신성 폭발은 수십 년에 한 번 나타나는 희대의 우주쇼다. 가장 최근 관측된 초신성은 1987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2020.01.14
더 그렇다. 평소 체온이 평균보다 좀 낮게 나와 걱정이라면 위의 생존율 비교
그래프
를 떠올리자. 갑상샘 저하증처럼 병이 원인이 아니라면 남들보다 천천히 늙고 따라서 장수할 가능성도 높은 체질이라는 말이니 오히려 좋은 일 아닐까. 운동으로 열이 생성되거나 반신욕으로 열이 공급되면 ... ...
[주말N수학]
그래프
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
수학동아
l
2020.01.11
아이돌 그룹 엑소가 정규 6집 앨범 ‘옵세션(Obsession)’으로 돌아왔다. 진짜 엑소와 그에게서 복제된 가짜 엑소(x-엑소)가 동시에 컴백했다는 ‘신박한’ 설정으로 ...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2020년 1월호,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그래프
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한다는 정황증거를 제시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영욱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정리한
그래프
다. 세로축의 '허블차이값'은 검은 점선으로 표시된, 우주에 암흑에너지가 없을 경우의 초신성 밝기와 실제 관측갑 사이의 차이다. 초신성의 광도 차이에 의해 측정되는 허블상수 오차가 광도진화에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