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전세계인들이 이미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구나. 어? 이번엔 사람들이 아예 도시를 바꾸고 있대! 지구를 위해 도시가 똑똑해진다니, 무슨 말일까? 똑똑하게 절약하라! 스마트 시티도시가 점점 거대해지고 있어요. 도시에는 일자리도 많고 편의시설도 잘 돼 있으니 점점 사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이처럼 소리는 주변 환경에 따라 흡수되기도 하고, 반사되기도 해요. 그런데 미국항공우주국(NASA)이나 유럽우주국(ESA)에는 모든 소리를 흡수하는 방이 있답니다. ‘무향실’이라는 이 방에서는 아주 작은 울림까지도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가만히 있으면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죠. 그 비밀은 바로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지정하고 있어요. 별빛이 가득한 아름다운 밤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거예요. 현재까지 미국과 독일, 스페인, 영국 등 전세계 30여 개 지역이 지정돼 보호받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2015년 아시아 최초로 경상북도 영양군에 있는 반딧불이 생태공원 일대가 국제 밤하늘 보호공원으로 지정됐답니다 ... ...
- Part 3. 플로팅 시티, 도시를 물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수 십 년 안에 심각한 피해를 받을 수 있어요. 이에 미국 UC버클리대학교 환경계획 및 도시디자인과 크리스티나 힐 교수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플로팅 시티’를 제안했어요. 플로팅 시티는 말 그대로 물 위에 떠 있는 도시를 뜻해요. 힐 교수는 지난 10월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사용되고 있어요. 학생들이 직접 캔위성을 만드는 대회도 세계 곳곳에서 열리고 있지요. 미국 천문학회와 미항공우주학회가 주최하는 캔위성 경연대회는 재밌게도 캔위성에 달걀 하나를 넣어야 해요. 그 다음 로켓에 실려 쏘아올려진 뒤, 450~570m에서 캔위성이 분리되어 낙하하기 시작해요. 달걀이 ... ...
- [과학뉴스] 공룡의 똥이 지구를 풍요롭게 만들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초식 공룡의 똥이 지구의 땅을 풍요롭게 만들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노던애리조나대학교 연구팀은 거대한 초식 공룡인 용각류 공룡이 먹이를 먹고 배설할 때까지 움직이는 거리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공룡은 먹이를 먹고 평균 51km이상의 먼 거리를 움직인 뒤 배설을 한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미국(1940년대 유입)과 호주(2001년 유입)는 이개미로 인한 피해가 가장 많은 나라예요. 미국은 의약품과 살충제를 사고, 기계를 수리하는 등 피해를 수습하고 예방하는 데 한 해 7조 6027억 원을 쓰고 있지요. 호주도 피해 지역의 농작물 수확률이 40%가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이에 호주 정부는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그런데 외래 침입종을 만드는 이유가 하나 더 생겼답니다. 바로 지구온난화예요. 미국농업연구소의 마이클 코르츠킨 박사는 2004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온난화로 외래 붉은불개미의 서식지가 세계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발표했어요. 추웠던 북쪽 지역이 지구온난화로 점점 더워지면서, 외래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름은 위대한 천문학자인 ‘에드윈 허블’을 따서 지었답니다.허블은 1889년 11월 20일 미국에서 태어났어요. 원래 법학을 공부했지만 천문학에 더 흥미를 느끼고 1919년 윌슨산천문대의 연구원으로 일하기 시작했지요. 당시 과학자들은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허블이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비율이 20% 정도로 줄었고, 지구 관측이나 우주 생물학 실험에 사용되고 있지요.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0년 화성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실험실로 큐브샛을 사용할 예정이에요. 탐사선에 큐브샛을 실어 화성에 보낸 뒤, 지구에서 챙겨간 공기와 물을 이용해 2주 동안 애기장대 씨앗을 키워 볼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