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실어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그리고 이중 큐브샛 7기의 임무를 공개했지요. 우선
미국
록히드마틴사의 ‘스카이파이어’는 달 주위를 돌며 표면 정보를 수집해요. 그리고 모어헤드 주립대가 개발한 ‘루나아이스큐브’는 달 표면에서 약 100km 상공을 돌며 얼음을 비롯한 자원을 찾을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같은 종류는 세계 곳곳에 퍼져 있거든요. 그래서 당시 컨테이너가 들어온 중국, 일본,
미국
등 6개 국가 등을 후보로 놓고 정밀한 유전자 분석을 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항구가 발칵!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아라!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Part 2. 독침에 ... ...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안녕, 난 거리를 헤매는 음료수 캔이야! 밤마다 하늘에 반짝이는 별이 된 내 모습을 꿈꾸지. 다 쓰고 버려진 캔이 어떻게 별이 될 수 있냐고? 놀라지 마. 큐브샛이 되어 우주로 날아가면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일 수 있다는 얘길 들었어. 내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오~, 내 몸만 한 큐브샛이 지구를 관측하고 우주 실험실도 될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해. 하지만 지구 전체를 관측하기엔 너무 작은 것 같아. 우리나라에서도 크고 좋은 다목적 위성을 운영하고 있는데, 굳이 작은 큐브샛을 쓰는 이유는 뭘까? 50대가 넓은 지역을 동시에!일반적으로 다목적 위성은 지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큐브샛의 활약은 정말 무궁무진하군. 그런데 잠시만! 큐브샛이 먼 우주까지 갔다가 임무를 끝내면 그대로 우주에 남게 되는 거야? 우주로 간 수많은 큐브샛이 쓰레기가 된다면 지구 주변은 온통 우주쓰레기로 가득할 텐데…. 과학자들, 우주쓰레기를 고민하다! 우주로 발사되는 큐브샛이 급격하 ... ...
[과학뉴스] 투명한 태양 전지판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태양 전지판은 무겁고 새까만 탓에 아무 곳에나 설치하기 어려웠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팀이 투명한 태양 전지판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태양 전지판 표면에 특정 파장의 햇빛을 흡수하는 물질을 코팅했어요. 이 물질은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만을 모아서 전기로 바꾸지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책에 등장하는 사구아로(Saguaro) 선인장 그림도 그려 주셨어요. 사구아로 선인장은
미국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 등에서 자라는 선인장이에요. 높이가 약 10m가 넘고, 몸통 둘레도 3m나 되는 거대한 선인장이지요. 사구아로 선인장에 대해 궁금해서 자료를 더 찾아봤어요. 사구아로 선인장은 뜨거운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각종 수리와 점검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유용하기 때문이지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
미국
의 기업 ‘다큐리(DAQRI)’에서는 안경 형태가 아닌 헬멧 형태의 혼합현실 기기를 개발하고 있어요. 지금은 개발자용 스마트 헬멧만 공개된 상태지요. 이 헬멧에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기능이 들어 있어요.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왜 이렇게 긴 목을 가졌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거든요. 그런데 지난 2006년,
미국
라마르주립대학교 센터 박사는 암컷과 수컷의 목 길이가 다르다는 주장을 내놨어요. 반면 2011년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의 테일러 박사팀은 암수에 따라 디플로도쿠스류 공룡들의 목 길이가 다르지 않다는 연구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보물을 향해 어둠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통해 빛을 만들기 때문에 전기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야광봉은 1960년대에
미국
의 군사시설에서 임시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됐어요.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비상 상황에서도 빛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우주선이나 사고 현장에서 임시 조명으로 사용됐지요. 지금은 응원 도구나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