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컵
글라스
찻잔
커피잔
접시
gian
jean
d라이브러리
"
잔
"(으)로 총 55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려야했다. 요즘은 컴퓨터 그래픽이 나와 한결 수월해졌지만 그래도 장면을 수정하려면
잔
손질이 많이 간다.“한번에 맘에 꼭 드는 영상이 얻어진다면 좋겠지만 어디 그렇습니까? 그런데 수치를 몇개 바꾸는 걸로 영상이 수정된다면 얼마나 편하겠어요. 저희가 추구하는 목표죠.”연구자들은 먼저 ... ...
여자 양궁 선수의 첨단 장비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초본 아프리카금
잔
화라고도 한다높이가 30~50cm이다잎은 주걱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줄기잎과 더불어 부드러운 털이 있다꽃은 4~5월에 지름이 4~5cm의 두상화(頭狀花)로 피며 꽃대 끝에 1개씩 달린다꽃색은 등홍색(橙紅色)이며 밤에는 오그라든다보통 가을에 씨를 부려 온실에서 월동한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연구에 따르면 충분한 잠이 창의력을 향상시키는데도 도움이 된다. 8시간
잔
그룹이 적게
잔
그룹에 비해 수학문제를 풀어낼 가능성이 3배나 높게 나타났다. 이는 뇌에 기억을 저장하기 전에 재구성하는 기능이 자는 동안 향상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학습능력을 키우기 위해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등을 측정하는 가스성분 측정기 간섭굴절계인 마이켈슨의 간섭계 · 레일리의 간섭계 ·
잔
의 간섭계 · 시아링 간섭계 등이 있다비활성기체를 봉입한 광전관 광전자가 충돌할 때부터 시작하여 기체 내에서 광이온화가 되풀이되어 전류가 증가하므로 진공형보다 감도가 4~5배 높지만 감도가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공장’ 이 아니다”라며 “연안자원을 늘리기 위한 모델로서 뿐만 아니라 차 한
잔
마시면서 수중경관을 즐길 수 있는 신개념 여가공간으로서 한몫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수산자원 확보와 해저 레저공간 기능2006년 이후에는 통영 바다목장을 지방자치단체나 어민들이 스스로 관리할 수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常壓蒸溜殘油)를 일단 감압증류하여 유출(溜出)하는 강압경유와
잔
유의 아스팔트분(감압
잔
유)으로 분리하여 전자를 보통 방법으로 수소와 정제한 후 후자와 혼합하여 저황중유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고로(高爐)에서 선철(銑鐵)을 만들고 이어서 제강로에서 제련하여 강철을 만드는 일반적인 제강법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4월 2일자를 보다가 논문에서 또다른 데페이즈망의 예를 찾아냈습니다. 골치아픈 글이
잔
뜩 적혀있는 과학논문에 난데없이 미술작품이 들어가 있는 것이었습니다(사진 1). 그것도 데페이즈망의 대표적 작가로 일컬어지는 르네 마그리트의 ‘관념’(1966년)이었습니다.미 매사추세츠공대(MIT)의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둘 다 난자를 생산할 수 없다면 아예 난자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같은 해 미국 코넬대
잔
피에로 팔레르모 박사는 다른 여성에게서 제공받은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다음, 난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여성의 체세포를 융합시켰다. 여기서 다시 절반의 염색체를 뽑아내 최종적으로 난자를 만들어냈다.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복분자주를 내놓았는데 반응이 아주 좋았던 것. 자국의 와인보다 훨씬 맛있다며 연신
잔
을 비워내던 그는 귀국시 한병 챙겨 가는 것을 잊지 않았다.최근에는 복분자주스도 나와 역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들의 원료는 물론 복분자딸기다. 복분자딸기는 산딸기와 비슷한데 분류상으로 나무딸기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하지 않고도 답을 알아낼 수 있는 숨겨진 지름길이 있었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잠을
잔
그룹에서는 60%가 지름길을 알아냈지만 나머지 그룹에서 알아낸 사람은 22%에 불과했다. 즉 잠을 자고난 학생들은 꿈에서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한 과학자들처럼 일종의 통찰력을 얻게 된 것이다. 한숨자고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