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컵
글라스
찻잔
커피잔
접시
gian
jean
스페셜
"
잔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조금 못 자더라도 살 수 있다"
2024.11.30
가지고 있었다. 물론 잠을 잘 자는 것은 실제로도 중요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조금 못
잔
다고 해서 며칠을 내리 한 숨도 자지 못하는 게 아닌 이상 또 다음날 중요한 일정이 있는 게 아니라면, 조금 피곤하게 보낸다는게 그렇게 두려움에 떨 일인지 생각해 보면 또 별 일 아닌거 같기도 한 것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중국산 용품 유해물질 '기준치', 자동차 '제한속도'와 같아
2024.09.25
통해 염분이 지나치게 많이 배출되어 생리적인 전해질 균형에 깨진 상태에서의 물 한
잔
이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그런 경우에는 물을 마시기 전에 먼저 소금(염화 소듐)을 섭취하는 상식이 필요하다. '용량(用量)이 독(毒)을 만든다'는 파라셀수스의 교훈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아무리 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내일 아침에는 오늘 사 온 에티오피아 케라모 원두를 모처럼 프렌치프레스로 우려내 한
잔
마셔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서히 풀려가는 DNA 접힘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9
단백질도 이 과정을 돕는다. 코헤신이 DNA를 접는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잔
-마이클 피터스 오스트리아 비엔나바이오센터 연구원과 시즈 데커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바이오나노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CTCF의 작용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를 지난 1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CTCF와 코헤신 ... ...
[오늘과학] 적당한 음주, 건강에 이롭다?..."하루 두
잔
도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맥주나 와인으로 따지면 대략 두
잔
에 해당하는 양이다. 남성의 경우 하루 알코올 섭취량이 45g(3
잔
) 이상일 경우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술을 적당히 마시는 사람들이 평생 금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장수 관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거 아닌가?’라는 걱정을 하기에 이르렀다. 아무튼 이날 경험으로 그 뒤 하루 커피 두
잔
을 넘지 않는다. 그런데 카페인이 심장을 빨리 뛰게 한다는 지식이 없었더라도 이날의 불안감이 이렇게 기억에 남을 정도였을까. 어쩌면 가슴이 두근거리는 걸 느꼈더라도 별로 신경을 쓰지 않고 넘어가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다소 의아한 결과다. 흥미롭게도 커피 한
잔
에는 칼륨이 100mg나 들어있다. 하루 서너
잔
을 마시면 권장량의 10%를 섭취하는 셈이다. 어쩌면 커피의 건강 효과의 상당 부분은 만성 부족 상태인 칼륨을 꽤 보충해준 덕분 아닐까. 이번 나트륨 칼륨 섭취량과 사망률 관련 데이터를 커피 섭취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깔린 얇은 얼음을 녹이려는 것 같다. 요사이 눈이 자주 와서 그런지 곳곳에서
잔
조각 상태로 바닥에 뿌려져 있거나 눈이나 얼음을 녹여 허옇게 풀린 상태의 염화칼슘이 보인다. 염화칼슘은 수분을 흡수해 녹으며 열을 발생시켜 주변의 눈이나 얼음을 추가로 녹일 수 있다. 그런데 염화칼슘의 ... ...
[일상 속 뇌과학] 자면서 짧게 뒤척일 때 기억이 정리된다
2022.11.05
잠을 자는 동안 수면방추가 자주 관찰되었던 사람들이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잠을 잘
잔
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대로 노인이나 기억력 장애를 겪는 사람들에게서는 수면방추가 덜 관찰된다고 한다. 이처럼 미세각성 및 수면방추가 수면과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이들이 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치사량은 0.1그램에 불과하다. 역시 쓴 물질인 카페인의 치사량이 10그램(커피 100
잔
)인 걸 떠올리면 독성이 엄청나다. 스트리크닌이 우리 몸에 독성 또는 약효를 보이는 이유는 1973년 밝혀졌다. 스트리크닌은 신경세포(뉴런)의 억제성 시냅스 전달 신호에 관여하는 글라이신수용체에 달라붙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