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흡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신체를 통과해 바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퀀텀닷의 크기를 조절하면 신체 구성 물질이 흡수하지 않는 700~900nm 대역의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발하게 만들 수도 있다.김성지 포스텍(POSTECH) 화학과 교수는 2017년 퀀텀닷에 암을 탐지하는 프로브를 결합해 암 조직 근처에서만 근적외선을 강하게 발하는 ... ...
- [한페이지 뉴스] 나비에게 배우는 ‘완벽한 검은색’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높은 검은색 나비는 날개의 반사도가 0.06~0.4%에 불과했다. 이는 들어온 빛의 최대 99.94%를 흡수한다는 뜻이다. 반면 대조군 나비는 날개의 반사도가 1~3%로 측정됐다.연구팀은 날개 표면의 구조와 반사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각각의 날개를 관찰했다. 반사도가 낮은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플라스마는 기체상태의 물질에 매우 큰 에너지를 가하면 만들어져요. 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원자에서 떨어져 나오면 양전하를 띠는 원자핵과 음전하를 띄는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는데, 이 상태를 ‘플라스마’라고 해요. 고체, 액체, 기체에 이어 물질의 4번째 상태라 불리는 플라스마의 ... ...
- [에디터노트]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앞두고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었다. 큰 상자는 마스 2020 운반용이고,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도록 특수 설계가 됐다는 설명이 들렸다. 전인수 JPL 우주환경그룹장은 기자에게 “이틀 뒤 JPL 직원 가족들에게 마스 2020을 공개하고 나면 상자에 넣어서 플로리다주로 보낸다”며 “마스 2020의 실물을 볼 수 ... ...
- [한페이지 뉴스] 비행기 고도 600m만 낮춰도 대기오염 줄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달라붙으면서 비행운이 만들어지고, 이들 비행운이 지표에서 방출하는 에너지를 흡수해 지표면의 기온을 올린다. 그런데 최근 항공기의 고도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비행운에 의한 기후 강제력(climate forcing)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후 강제력은 기후 시스템의 변화를 주는 요인들을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있다. 물질마다 갖고 있는 이런 에너지값을 에너지 준위라고 한다. 전자는 에너지를 흡수하면 높은 궤도로, 에너지를 방출하면 낮은 궤도로 이동한다. 전자가 얼마나 높은 궤도에서 얼마나 낮은 궤도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방출하는 빛의 종류와 색이 다르다. 에너지 밴드. 원자는 특정한 에너지값,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모르겠지만 나름의 과학적 이유는 있는 셈이죠. 하지만 섭취한 페닐에틸아민이 흡수돼 뇌로 전달되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뇌 혈관을 둘러싼 세포층인 뇌혈관장벽(BBB)이 있어 포도당이나 산소 같은 뇌에 필요한 극히 일부 물질을 빼고는 뇌에 바로 전달될 수 없으니까요. 초콜릿을 먹고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인간은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뿜습니다. 식물은 인간과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배출합니다. 그래서 남미 열대우림인 아마존이 ‘지구의 허파’로 불리죠.우선 결론부터 말하면 이산화탄소를 없애기 위해 집안에 식물을 둘 필요는 없습니다. 집안에 사람이 많이 모이는 ...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탄소 동위원소를 많이 흡수해요. 쌀, 보리처럼 온대에 서식하는 ‘C3 식물’은 13C를 적게 흡수해요. 광합성 화학 과정이 달라서 일어나는 차이죠. 이와 비슷하게, 바다에서 채취한 음식을 많이 먹거나 질소가 많이 함유된 콩류 음식을 먹으면, 질소 동위원소 15N의 비율이 높아지지요.따라서 뼈의 ...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배로우 지역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자료 42년치를 수집한 뒤, 토양이나 식물에서 흡수하거나 내뿜는 탄소량 자료만을 추출해 분석한 것이었지요. 그 결과, 연구팀은 영구동토층의 탄소 저장 시간이 지난 42년 사이 13.4% 줄어들었단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정수종 교수는 “탄소 저장 시간이 13.4%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