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성
젊음
생기
뉴스
"
신선함
"(으)로 총 94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공성물질로 이산화탄소 꽉 잡는다
2015.10.16
대표적 온실가스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각국은 탄소 배출량을 규제하거나 과학적인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이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저렴한 가격에 처리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윤경병 서강대 화학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효 ... ...
하와이 ‘화성체험시설’에 고립 훈련중인 과학자 전격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15
마크 와트니는 스키아파렐리에 무사히 도착해 이제 화성을 떠날 날만을 기다리고 있어요. 그는 지구 시간으로 무려 687일, 즉 화성에서의 1년을 홀로 지냈지요. 그가 무사히 지구로 돌아갈 수 있을지 궁금한 친구는 영화나 책을 확인하길! 그런데 마크 와트니의 이야기는 꼭 영화 속 일만은 아니에 ... ...
“中, 제조 대국에서 강국으로 거듭날 것”
2015.10.15
류바이청 중국 칭화대 교수.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제가 한국에 올 때 보잉777기를 타고 왔습니다. 만약 중국이 지금 이런 비행기를 제작하려면 모터 등 핵심 부품을 모두 수입해야 합니다. ‘중국 제조 2025’를 통해서 중국은 기술 자립국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중국 공학 분야 최고 학술기관 ... ...
선인장, 예쁜 꽃 때문에 사라질 수도
2015.10.13
선인장 '마밀라리아 헤레리아(Mammillaria herrerae)'의 모습. - Jardin Botanico Regional de Cadereyta 제공 전 세계 선인장 종의 셋 중 하나가 멸종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과 영국 엑시터대 등 공동연구팀은 1480종의 선인장 중 31%가 멸종 위험에 처해있다고 ‘네이처 플랜트’ 5일 자에 ... ...
“초파리 허물 벗는 데는 ‘뉴런’이 중요”
2015.10.12
초파리의 모습. - NASA 제공 초파리의 허물벗기(탈피) 행동을 조절하는 뉴런의 작동 원리가 밝혀졌다. 김영준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도형 KAIST 생명과학과 박사, 마이클 애덤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교수 공동 연구팀은 초파리 탈피 행동에서 두 가지 뉴 ... ...
남극에는 U자형 계곡이 많을까, 적을까
2015.10.11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산에 놓인 은백색 빙하의 모습이 실렸다. 빙하 뒤로는 빙하가 산에서 산을 깎아 낸 움푹한 침식지형이 보인다. 빙하가 내려오며 남긴 흔적이 고스란히 남은 것이다. 스위스 로잔대와 프랑스 피에르-마리퀴리대(파리6대학)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지구 표 ... ...
1900년에 살던 사람들이 상상한 2000년
2015.10.11
위키 커먼스/장 마크 코테 제공 100여 년 전 사람들은 미래를 어떻게 상상했을까. 최근 인터넷에는 1900년에 살던 사람들이 상상한 그림이 화제가 되고 있다. 프랑스의 상업예술가였던 장 마크 코테(Jean-Marc Côté)를 비롯한 몇몇 예술가들이 1899~1910년에 그린 그림들이다. 원래 담배 상자 안에 동봉 ... ...
전기 통하는 新 부도체 찾았다
2015.10.09
흔히 전기가 통하면 도체, 통하지 않으면 부도체라고 부른다. 하지만 부도체 중에서 간혹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고분자 물질인 폴리아세틸렌이 대표적이다. 염한웅 단장(왼쪽)과 이성훈 연구위원. - IBS 제공 최근 국내 연구진은 폴리아세틸렌 외에 전류가 흐르는 새로운 부도체를 발견 ... ...
300만 년 전 살았던 새 인류, ‘호모 날레디’
2015.10.07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한 동굴에서 1550여 개의 뼈 조각이 발견되면서 새 인류 ‘호모 날레디’의 존재가 확인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 등 국제연구진은 지난달 호모 날레디의 존재를 공식 발표하며 호모 날레디는 고릴라만 한 뇌를 가지고 직립보행을 하며 약 300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인 것 ... ...
‘아리랑 2호’ 9년 간 임무 성공적으로 마치고 퇴역
2015.10.05
2006년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가 9년 동안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아리랑 2호의 임무를 추가로 연장하지 않는다고 2일 발표했다. 대신 향후 위성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