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될 수 있다. 인공세포에서는 진짜 세포처럼 유전자가 발현돼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형광
단백질이 붙은 알파-헤몰리신 단백질이 만들어진 경우로 세포막이 밝은 녹색이다. 위는 인공세포 두 개가 붙어 있는 상태이고 아래는 여러개가 거품처럼 붙어있는 상태다. - PNAS 제공 ● 호의적인 장내미생물 ... ...
암세포만 밝고 선명하게 보여 주는 ‘나노 램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있는 조직까지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빛이 닿지 않는 조직에는 적용하기 힘들었던 ‘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 방법이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셈이다. 또 생체 인자를 인식하는 물질만 바꿔 주면 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을 정밀 진단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천 단장은 “다양한 ... ...
‘벌레 온 어 칩(On A Chip)’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장비는 나노입자의 존재와 함께 유해성까지 파악할 수 있다. 예쁜꼬마선충의 염색체를
형광
으로 염색, 은 나노입자를 먹고 독성을 나타내는 지 여부를 관찰하는 방식이다. 최 교수는 “환경 및 인체 유해성이 제기되는 나노 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미세 유체 동물 칩을 개발한 ... ...
[생활의 시선 47] 이탈리아에서의 대화
2017.01.07
낯모르는 관계인 듯했다. 앉자마자 남성은 두꺼운 책을 펼쳐 읽었고, 여성은 노트를 꺼내
형광
펜으로 밑줄을 그어가며 필기 기록에 열중했다. 그러던 중 어떻게 시작됐는지는 모르겠지만, 두 사람은 내가 알아들 수 없는 이탈리아어로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대화의 태도로 봐서는 거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입혀 수술 중에 실수로 신경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형광
안내수술 프로젝트와 종양에서
형광
을 발하는 탐침을 개발해 암을 조기에 검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주력하고 있었다. 첸은 160건이 넘는 미국특허를 보유했고 바이오벤처를 세 곳 설립했는데 주로 자신의 ... ...
세균의 내독소,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움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26
기술을 활용해 내독소가 어떤 과정을 거쳐 면역세포로 전달되는지 알아냈다. ‘단분자
형광
기법’을 활용해 분자의 움직임을 관찰하는가 하면, 투과전자현미경 기법을 사용해 단백질의 2~3차원 구조를 관찰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둥그런 구 모양인 마이셀을 이루고 있던 내독소가 LBP와 CD14라는 ... ...
위조지폐·위조여권… 적외선만 쪼이면 한 번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후 다시 붙이면 적외선을 쪼여도 문양이나 색깔이 나타나지 않는다. 고 연구원은 “나노
형광
체와 은 나노와이어가 제조환경에 매우 민감한 소재여서 기존 기술에 비해 복제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 고 연구원은 “보안성이 뛰어나면서도 저비용으로 대량 제작이 가능해 지폐를 비롯한 ... ...
X선으로 밝힌 그리스의 도자기 예술
과학동아
l
2016.11.22
낸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분석 결과 아연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도자기의 그림을 X선
형광
분석한 결과. 초록색은 칼슘 성분이, 붉은 색은 철과 칼륨 성분이 들어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스탠퍼드대 제공 예술사학과 조디 맥스민 교수는 “그리스 시대에는 4년마다 전쟁의 신 아테나를 모시는 ... ...
세포 투과율 직접 확인… 최적의 나노입자 찾는 법 알아냈다
2016.11.16
저장할 수 있는 전하량이다. 기존에는 나노입자의 세포 투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형광
물질로 표시한 나노입자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했다. 나노입자의 투과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세포의 전기적 특성인 정전용량의 변화를 ... ...
먹는 시금치로 지뢰를 찾을 수 있다고?
2016.11.02
이용했다. 이 나노입자가 들어간 시금치는 주변에 지뢰가 매설돼 있으면 잎에서
형광
을 낸다. 식물의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약 10분 뒤 잎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거의 실시간으로 주변 토양의 지뢰 위험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팀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나노입자의 감지 결과를 스마트폰에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