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
과학동아
l
2016.07.30
김정웅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팀은 간상세포에서만 녹색
형광
을 내는 유전자변형 생쥐를 만들고, 발생 시기별로 간상세포를 채취해 유전자 전사체(mR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성체 간상세포에서 원추세포의 특성을 보이는 유전자의 흔적을 발견했다. 이는 간상세포와 ... ...
빛의 색깔 자유자재로 바꾸는 방법, 사탕에서 찾았다
2016.07.25
미케노발광 재료에 유기
형광
색소의 배합 비율에 따라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고, 유기
형광
색소를 확산시키면 색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연구진은 이 원리 역시 사탕에서 발견했다. 대부분의 사탕은 향을 내기 위해 천연식물성 오일이 들어가는데, 이 오일이 자외선을 ... ...
태양전지 신소재로 LED 조명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2016.07.18
싸서 이 구조를 활용한 태양전지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그러나 빛을 내는 특성인 ‘
형광
효율’이 낮아 LED 같은 발광(發光) 소재로 만드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차원 제어 공정’이란 방법을 새롭게 개발해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사이에서 에너지 전달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 ...
항생제로 세포 촬영 ‘찰칵’
2016.06.19
다광자현미경을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했다”며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형광
물질은 흔치 않은 데 이미 널리 쓰여 안전성이 인정받은 항생제를 이용한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일자에 실렸다.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소프트 윈도’를 개발했다. 생쥐를 통해 실험한 결과 대뇌 뇌세포 중 특정 세포만 녹색
형광
을 띠도록 조작할 수 있었다. 쥐를 마취하지 않고도 1시간 이상 혈류를 관찰할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소프트 윈도를 이용해 약물을 직접 주입하거나 전극을 원하는 위치에 꽂아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과산화효소로 인해 ‘페놀라디칼’을 포함한 단백질이 만들어지도록 한 뒤, 이 물질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단백질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해 복잡한 구조인 미토콘드리아 세부 공간 속에 존재하는 단백질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이 ... ...
이런 스승 또 없습니다…“노벨상은 뛰어난 제자들 덕분”
2016.05.20
이용해 빛의 파장보다 더 작은 분자 하나까지 관찰할 수 있다. 머너 교수는 “
형광
현미경을 의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2~3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작은 세계를 이해해 신약 개발이나 특별한 능력을 가진 재료 제작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 ...
우리 몸속에도 ‘복선(複線) 기찻길’이 다닌다
2016.05.08
밝혀지지 않았다. 가이야 피지노 막스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 및 세포 연구소 연구원 팀은
형광
물질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소관이 세포 소기관을 수송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살펴본 결과를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세소관 속 2개의 세관이 기찻길처럼 한쪽 방향으로만 ... ...
LED 효율 떨어뜨리는 원인 새롭게 밝혔다
2016.04.26
LED 발광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고 26일 밝혔다. LED는 백열전구나
형광
등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에너지 손실은 여전히 크다. 에너지의 15% 정도를 빛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85%는 열로 바뀐다. 연구진은 질화갈륨이 반도체 내에서 지속적으로 결함을 만들었다가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활용해 염색체의 운동성을 추적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광분석 기술을 통해
형광
표지가 된 염색체의 운동성을 실시간으로 자동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인간 세포와 유사한 생물학적 특성을 갖고 있는 효모에 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 염색체의 운동성을 기반으로 유전자의 이상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