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잡한 림프절, 광음향으로 꿰뚫어본다
2015.10.01
주위의 기체에 동일한 주파수의 음파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기존의 림프절 조영법이나
형광
영상기반 조영법은 림프관과 림프절에 약품을 주입해 각 조직을 뚜렷하게 구별할 수 있게 인위적으로 방사선 흡수차를 크게 만든 뒤 촬영한다. 하지만 복잡한 림프절을 정확히 탐지하기에는 부족했다. ... ...
일본판 황우석 사건…과학자들이 마침표 찍다
2015.09.29
조작했다. 그 결과, 빛을 발하는 세포가 간혹 발견되긴 했지만 죽기 전에 발광하는 ‘자가
형광
’이라는 현상일 뿐 오보카타 씨의 주장과는 달리 만능성을 획득해 발광한 세포는 없었다. 더구나 연구팀은 오보카타 씨가 만들었다고 주장한 STAP세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 존재하던 ... ...
지난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 새로운 현미경 또 개발
2015.08.30
빛을 집중적으로 쏘는 방법 때문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초고해상도
형광
현미경보다 빛을 덜 주는 방법으로 살아있는 세포를 찍을 수 있는 현미경인 ‘SIM(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을 새로 개발했다. SIM은 광학현미경 해상도의 2배 이상인 높은 해상도로 초당 12프레임으로 ... ...
수학으로 ‘생체리듬’ 설계했더니, 실제로 움직여
2015.08.28
매슈 베닛 교수팀이 김재경 KAIST 교수의 설계를 토대로 만든 인공 생명체. 두 종류의
형광
단백질이 활성과 비활성을 반복하며 실제 생명체처럼 생체리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사이언스 제공 ... ...
연세大, 한국인 사망 원인 3위 간암 핵심 발병 원리 밝혀
2015.08.25
증식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X 단백질과 Myc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
형광
물질로 X 단백질과 Myc 단백질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했더니 두 단백질이 결합하면서 Myc 단백질 분해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적인 간 조직에서는 간암 환자의 조직보다 발현되는 Myc 단백질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쓸어낸 뒤 푸른빛을 비추었어요. 그러자
형광
색을 띠는 지문이 더욱 선명하게 보였어요.
형광
분말이 지문이 있는 자리에만 붙기 때문이에요. 범인의 지문은 소용돌이 물결 모양이었어요. 이번에는 금고 앞에 찍힌 발자국을 관찰하기로 했어요. 발자국을 채취해서 특징과 보폭을 확인하면 범인의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이를 발견한 것이다. 김 단장 팀은 세포물질 전달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미세한
형광
물질을 넣어 실험했다. 이 결과 연구팀은 막융합이 빠르게 열리고 닫히면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대부분의 신경세포가 적어도 3번 이상 깜박거리며 여러 번에 걸쳐 물질을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50마이크로미터가 채 안 되는 ‘가늘고 연약하며 투명한 조직’을 발견했다. 그리고
형광
실체현미경이라는 자체 제작한 현미경으로 해부한 쥐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봉한관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핵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당시 기고문에서 필자들은 “현재 본 연구실의 연구단계는 김봉한 ... ...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막] “TV에서만 보던 ‘휴보’ 직접 조종하니 신기”
2015.07.28
특히 세계 최초로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하고 백신을 개발한 이호왕 박사가 사용한
형광
현미경 등 실험도구를 볼 수 있어 위대한 발견의 순간을 상상해 볼 수 있게 했다. 이날 휴보와 드론, 삼성전자의 가상현실 장치인 ‘기어VR’ 등은 관람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휴보가 움직이는 모습을 ... ...
탄저균만큼 위험한 야토균 손쉽게 검출
2015.07.02
아포페리틴 24개가 스스로 조립돼 형성한 구 형태의 입자는 한번에 여러 개의 항체와
형광
물질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즉 검사과정이 간단해져 10배 이상 낮은 농도에서도 야토균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기존에는 여러 개의 병원체가 섞여 있으면 농도가 높은 한 가지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