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STAP 세포 논란 사실상 종결] “STAP 세포는 없다”
2014.12.21
시도했다”고 설명했다. 50차례 가까이 실험하는 과정에서 드물게 STAP세포처럼 녹색
형광
을 띄는 세포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지만 만능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올해 7월 네이처가 관련 논문 2편을 모두 철회한 데 이어 검증실험에서도 STAP세포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온 만큼 STAP세포가 ... ...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
과학동아
l
2014.11.15
60여명이 고개를 끄덕였다. 참가자들의 질문도 수준 높았다. 윤 교수가 “청색 LED는 노란
형광
체를 발라 백색 LED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번에 물리학상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하자 한 참가자는 “왜 적색 LED는 같은 원리로 백색 LED를 만들 수 없느냐”고 물었다. 올해 생리의학상 주제였던 ... ...
스스로 빛 내는 고효율
형광
유기발광 소자 개발
2014.11.04
효율뿐만 아니라 수명도 늘리는 물질도 개발할 계획”이라며 “이는 용액공정용
형광
유기발광소자를 상용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5일자에 실렸다. ... ...
2014 노벨화학상 수상자 에릭 베치그 교수의 새 작품은?
2014.10.26
공로로 노벨상의 영광을 안았다. 베치그 교수팀은 해초를 뭉친 것 같은 물질을 찍었다.
형광
빛을 내뿜어 신비롭게 느껴지는 이 물질은 사실 제브라피시의 배아 뇌 속 신경세포(뉴런)다. 보통 현미경으로 이런 다세포 생물의 복잡한 구조를 촬영하면 이미지가 일그러지기 마련이다. 연구팀은 ... ...
스트레스와 우울증 관계 처음 밝혀졌다
2014.10.22
스트레스 대응력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세포에 나타나는 발광 현상을 ‘
형광
발광영상장치’를 이용해 영상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로 3주간 하루 2시간씩 비닐에 가둬 우울증에 걸리게 만든 쥐에게 실험을 진행더니, 우울증에 걸린 쥐는 스트레스를 줬을 때 뇌에서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심각한 빛공해가 더 심해질 게 분명한데다가 LED의 빛 품질이 기존 조명인 백열전구나
형광
등에 비해 건강에 안 좋기 때문이다. 즉 LED 백색광은 햇빛처럼 가시광선 범위의 파장대가 연속적으로 분포한 게 아니라 좁은 파장대를 지닌 청색광, 녹색광, 적색광이 조합돼(또는 다른 파장 빛의 조합으로) ... ...
[2014 노벨 화학상] 빛의 한계 뛰어 넘은 과학자 3명 공동 수상
2014.10.09
과정 모두 유 단장의 지도를 받은 김지만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는 “초고 해상도
형광
현미경이 널리 쓰이면서 올해 수상의 영예를 안은 것 같다”며 “메조다공성물질도 조만간 2차전지나 태양전지, 연료전지의 전극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면 조만간 노벨상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데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체세포에 전자기파를 쪼아 줄기세포로 변환시켰다.
형광
염색된 부분(오른쪽)은 이렇게 변환된 세포가 줄기세포로서의 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수술 전에 종양 부위에 이번에 개발한 ‘나노
형광
표지자’를 주사하면 수술 중에도 밝은 빛을 내기 때문에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수술 부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처가 빨리 아물고 흉터도 작아 수술 후 부작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김 과장은 “간단한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띠는 나노입자를 탐색했다. 그 결과 원생동물과 물벼룩, 제브라피시의 몸속에서 모두
형광
나노입자가 발견됐다. 원생동물 체내에서는 일종의 소화기관 역할을 하는 소기관에서 발견됐으며, 물벼룩의 장에서도 나노입자가 발견됐다. 제브라피시는 장과 내장은 물론 배설물에서도 나노입자가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