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형광"(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06.30
- 완전히 다릅니다. LED는 질화갈륨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해 만드는 반면,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이용합니다. 둘 다 ‘자체발광’ 소자이긴 해요. OLED TV는 패널 자체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 광원이 필요 없습니다. 얇고 가볍고 열이 나지 않습니다. 게다가 기존 TV가 실제 ... ...
- ‘불멸의 세포’ 막는 장애물의 정체는? 2015.06.28
- 표지를 장식한 이미지는 수정된 지 14.5일 지난 쥐의 배아에서 심장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이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팀은 쥐 배아의 심장에서 일어나는 신호 전달을 이번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쥐 배아에서 나타나는 심장전구세포는 심장 표피세포와 ...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2015.06.08
- 조작돼 있어서 해마에서 어떤 뉴런이 특정 공포기억에 관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형광단백질이 발현된 세포). 조사결과 해마에서 치상회라고 부르는 영역에 있는 세포들이 주로 활성화됐다. 그 뒤 소리 대신 뇌에 심은 광섬유를 통해 파란빛을 켜 세포막에 채널로돕신2 단백질이 박혀 있는 ... ...
- 자외선만 내뿜는 양자점 LED 나왔다2015.06.01
- 상태의 자외선 파장으로 살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 자외선은 형광작용이 있어 위조지폐 검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차국헌 교수는 “제작 방법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살균효과 등을 활용한 양자점 LED 제품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외선 양자점 발광다이오드를 ... ...
- 신약물질 보고 단백질, 자유롭게 구조 바꾼다2015.05.26
- 형광 단백질을 세포 내에 합성해 실제로 조절이 가능한지 확인했다. 그 결과 2∼3nm의 형광단백질이 2∼10개 결합한 나노조립체를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 또 3개 이상 결합한 것들은 3~10각형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조립체 표면을 개량해 생체 분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크기의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디스플레이 기술 변화가 가져온 풍경2015.05.25
- 시작했는데, 이건 사실상 액정화면 뒤쪽에서 빛을 비춰주는 백라이트라는 부품을 형광등에서 LED로 바꾸고 나서부터다. 핵심기술은 같은 LCD이다 보니 처음엔 이 변화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가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백라이트만 교체해 당장 조금 더 얇게 만드는 게 ... ...
- 천연만 고집하시나요? 합성 다이아몬드 매력을 모르시는군요 2015.05.08
- 자외선을 이용해 다이아몬드 내부를 형광 이미지로 촬영한 모습. 천연다이아몬드(파란색)와 합성다이아몬드(녹색)는 화학 성분과 구조가 같지만 결정 구조는 다르다. 천연다이아몬드는 모자이크 패턴이 나타나는 반면 합성다이아몬드는 탄소가 자라면서 생긴 '성장선(가로방향 줄무늬)'이 보인다. - ... ...
- 이젠 기생충도 스마트폰으로 검출한다2015.05.07
- 통해 동영상으로 나타난다. 기기는 로아사상충의 움직임을 보여주기 때문에 분자 마커나 형광물질 등 다른 물질은 필요하지 않다. 연구를 이끈 대니얼 플레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는 “이미지 기술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결합시켜 자동으로 로아사상충 진단을 끝낸 것은 ... ...
- 좋은 기억 vs 나쁜 기억, 뇌에 기록되는 경로 달라2015.04.30
- 그 해답을 찾았다. 실험쥐의 뇌에서 좋거나 나쁜 기억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에 각각 형광 물질을 넣고 ‘첨단 광학 유전자 장비(Cutting-edge Optical-Genetic Tools)’를 통해 활성화 정도를 관찰했다. 그리고 쥐에게 충격을 줘 나쁜 기억을 새기거나, 설탕을 줘 좋은 기억을 심어줬다. 실험 결과 뇌의 ... ...
- AIDS 환자 위협하는 ‘작은와포자충’ 10분만에 찾아낸다2015.04.15
- 기생충이 인체에 들어올 때 생기는 면역물질을 이용해 감염 여부를 검출하는 ‘형광 항체법’으로 작은와포자충을 찾아내는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는 가로 2cm, 세로 3cm의 초소형으로 단 2μL(마이크로리터, 1μL는 100만분의 1리터)의 혈액만 있으면 작은와포자충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