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에 씻겨진 칼에서도 DNA가 검출된다
과학동아
l
2016.02.03
레드-오’와 ‘수단 블랙’도 적합하다고 밝혔다. 일반 과학수사에서 많이 쓰는 자성
형광
분말법으로 지문을 채취하는 모습. - 전북청 과학수사대 제공 유속과 수질에 따라 지문이 사라지는 속도가 다르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2011년 9월 미국 조지메이슨대 브론윈 데브린 연구원은 유속이 빠른 ... ...
은으로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정밀도 높였다
2016.02.01
뭉치는 등 혼합물이 잘 분리되지 않거나 농도가 낮을 경우 성분이 잘 검출되지 않았다.
형광
표지를 붙여 빛을 조사하는 대안이 있지만 분자 본래의 특성이 변하는 한계가 있었다. 은 나노입자를 입힌 크로마토그래피 종이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 표면의 금속 나노구조 ... ...
푸른빛 LED, 백색광으로 바꾼 비결
2016.01.13
바이오HLED는 LED와 OLED의 장점만 취했다. 청색 LED에 인광 무기물 대신 적색과 녹색, 청색의
형광
을 내는 발광성 단백질을 고분자 고무로 만들어 입힌 것이다. 바이오HLED는 LED 수준으로 성능은 유지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백색광을 만들 수 있다. 또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단백질을 ... ...
주사 한 방에 암 2종류 24시간 안에 진단
2016.01.11
각
형광
물질에 암세포에 반응하는 물질을 넣고 주사로 체내에 주입한 뒤 24시간 내에
형광
촬영 장치를 이용하면 암세포의 위치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송현석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신체 조직을 잘 투과하는 빛을 암 검진에 쓸 수 있도록 만들어 인체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 ...
“‘친구 따라 강남’ 갔지만 지금은 천직”
2016.01.10
않았던 친구랑 같은 곳에 가려다 보니 분광학 연구실이 적격이었습니다. 표준연에서도
형광
분광학으로 연구하고 있었는데 당시 다른 부서의 문대원 단장님(現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펠로우)이 필요하다시며 저를 데려 가셨어요. 얼마 뒤 그 분이 스위스 연방재료과학기술연구소(EMPA)를 다녀온 뒤 ... ...
쇄빙선 ‘아라온’ 바닷속 플랑크톤 광합성 효율 밝혀냈다
2016.01.10
광합성에 이용하는 효율을 뜻한다. 플랑크톤은 여기에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를 열이나
형광
빛으로 바꿔 내보낸다. 박지수 선임연구원과 이상훈 책임연구원은 2008~2014년 아라온을 타고 인천~남극 아문센해 구간과 인천~북극 척치해 구간에서 배에 실린 실험장비로 빛의 파장을 이용해 ... ...
암 진행과 전이 여부, 30분 안에 동시 진단 가능해졌다
2015.12.27
모양의 DNA 나노구조체를 만들었다. 구조체 끝에는 마이크로 RNA를 만났을 때 빛을 내는
형광
입자체를 붙여 확인이 쉽게 했다. 엄 교수는 “검사자 몸에서 떼어낸 조직이나 피로 진단하는 방식이어서 임상 시험이 까다롭지 않다”며 “연구자금이 뒷받침된다면 이르면 5년 뒤 의료 현장에서 활용할 ... ...
차세대 TV, 더 적은 소자로 밝은 빛 낸다
2015.12.21
29배, 인광은 7배 증폭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또 그래핀 층의 수를 조절해 빛의 세기와
형광
·인광의 비율을 조절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복합소자를 디스플레이에 활용하면 하나의 분자로도 두 개 이상의 색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디스플레에서 각각의 색을 ... ...
작은 칩으로 세포 분화 조절했더니
2015.12.10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세포의 반응을 분석할 때는 분자 수준까지 관찰할 수 있는 ‘
형광
에너지공명전이법(FRET)’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성장자극 인자에 따른 세포의 반응을 수학적 모델로 정리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모델을 이용하면 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성장인자의 자극을 ... ...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눈으로 보니
2015.12.09
보였지만 미토파지 과정에 들어가면 산성(pH4) 환경이 돼 561nm 파장의 레이저에서 강한
형광
을 냈다. 연구팀은 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모든 세포에서 미토-케이마 단백질을 내도록 한 뒤 여러 생체조직에서 미토파지 과정을 각각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쥐의 간, 심장, 근육, 뇌에서 일어나는 미토파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