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스페셜
"
서열
"(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연구팀은 7년에 걸쳐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유전체를 해독했다. 각 염색체에 있는 반복
서열
을 분석하는 등 4만여 개의 유전자 정보를 밝혀 공개했다. 또 분석 결과를 ‘서양 발톱 개구리’ 유전체 해독 결과와 비교해 보기도 했다. 그 결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가 서양 발톱 개구리와 약 4800만 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0.16
공동 연구팀의 연구성과를 다뤘다. 전 세계 142개 집단에서 300명 이상의 전체 유전자
서열
을 분석했다. 지금까지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던 소수 민족 등의 유전자를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에스케 빌러슬레프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성과도 눈에 들어온다. 이들은 83명의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다만 서식지나 줄무늬 패턴의 차이에 따라 9가지 아종으로 분류해왔다. 그런데 게놈
서열
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구성하자 완전히 새로운 그림이 그려졌다. 새로운 종 분류에 따르면 린네가 학명을 정할 때 참조한 아종(누비아기린)이 포함된 북부기린이 기존 학명을 물려받았다(Giraffa camelopardalis).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멘델 유전학을 배운 부작용이라는 말이다. 21세기 들어 후성유전학, 즉 유전자의 염기
서열
자체는 변화가 없어도 외부요인으로 유전자 발현 정도가 영향을 받아 사실상 다른 유전자를 지닌 것 같은 결과가 나오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깊어지면서 멘델 유전학의 한계가 더 부각되고 있다. 사실 래딕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이들의 방법은 ‘구조가 비슷하면 작용도 비슷하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한다. 즉 게놈
서열
을 비교분석해 생물종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계통분류학처럼 구조에 기초해 분자들을 분류한 뒤 안전성 데이터가 있는 가까운 화합물을 통해 그 화합물의 안전성을 추측한다는 말이다. 실제로 구조에 따라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결과 네안데르탈인의 Y염색체에 있는 유전자 가운데 세 개는 현생인류와 아미노산
서열
이 다르고 하나는 아예 고장이 난 상태로 밝혀졌다. 그런데 앞의 세 유전자가 모두 ‘H-Y 유전자’였다. H-Y 유전자란 Y염색체 유전자 가운데 남성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다. 만일 임신한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특히 오세아니아 사람들에게 이들의 피가 섞였다는 놀라운 사실도 밝혀졌다. 게놈
서열
을 바탕으로 추정을 하자면 먼저 현생인류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의 조상이 55만~76만 년 전에 갈라졌고 그 뒤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이 38만~47만 년 전에 갈라졌다. 데니소바인은 치아와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적인 존재다. 그럼에도 자체 게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염기
서열
을 바탕으로 세포 생물체처럼 분류를 할 수 있다. 지카바이러스의 게놈은 2007년 해독됐는데, 이에 따르면 가장 가까운 바이러스는 뎅기열바이러스이고 황열바이러스와 일본뇌염바이러스도 가까운 친척이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인간처럼 후구동물이기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 데이비슨은 성게게놈
서열
분석컨소시엄을 만드는데 구심점 역할을 했고 학술지 ‘사이언스’ 2006년 11월 10일자에 성게게놈해독 결과가 25쪽에 걸쳐 특집으로 실리며 그의 연구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사이언스’ 10월 30일자에 부고를 쓴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복사해 단백질을 생성하는 전령RNA(mRNA)가 임무를 마치고 분해되는 과정을 '꼬리
서열
분석법'으로 밝혀낸 것도 큰 성과로 평가받았다. 다섯째 연구성과는 '재사용 그래핀 연료전지 촉매 개발'이다. 그래핀(graphene)은 탄소 원자들이 6각형 벌집구조로 배열된 원자막으로서 전류 수송 능력이 구리의 150배,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