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서열"(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DNA를 추출해 미토콘드리아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현생인류도 네안데르탈인도 아닌 게놈서열이 나왔다는 연락을 받은 것. 깜짝 놀란 패보 박사는 이 사실을 데렌비안코에게 알렸고 러시아를 방문한다. 그리고 여기서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한 어금니를 건네받았다. 현생인류의 어금니보다 1. ... ...
- 해면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4.02.25
- 수많은 효소들의 유전자가 확인됐다. - 네이처 제공 저자들은 이들 박테리아의 염기서열이 워낙 독특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존 박테리아 게놈들과 비교한 결과 별도의 문(phylum)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텍토마이크로비아(Tectomicrobia)’라는 새로운 문을 제안했다. ‘숨기다’ 또는 ... ...
- 조류독감바이러스, H5N8과 H7N9의 경우동아사이언스 l2014.01.20
- 사망한 사람의 몸에서 분리한 H7N9형의 게놈을 조사한 결과 헤마글루티닌의 아미노산 서열 가운데 하나가 바뀌면서(228번 글루타민이 류신으로 바뀌었다), 기존 알파2,3-결합을 인식하는데 더해 알파2,6-결합에도 달라붙는 능력을 획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H7N9형은 조류독감바이러스와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동아사이언스 l2013.12.30
- 연구의 모델로 자리잡게 하는데 힘을 쏟았다. 셔먼은 진핵생물에서 전령RNA(mRNA)의 염기서열 AUG(아데닌 우라실 구아닌)가 유일한 번역 개시 코돈이라는 걸 입증했고, UAA, UAG, UGA가 번역 종결 코돈임을 밝혔다. 또 게놈에서 운반RNA(tRNA)의 유전자를 찾아내기도 했다. 다들 생명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동아사이언스 l2013.12.26
- 중간에 다른 단백질의 인산화된 타이로신(아미노산의 하나)에 달라붙는 특정한 아미노산 서열이 있었던 것. 파우슨은 이 영역을 SH2라고 불렀다. 파우슨은 SH2와 인산화된 타이로신을 통한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외부 신호가 세포 안으로 전달된다고 추측했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다른 여러 ...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동아사이언스 l2013.11.25
- 어떤 경우는 좀 더 오래갈 수도 있다. 이렇게 얻은 혼합물을 전기영동으로 분리하면 염기서열이 드러난다. 다이데옥시법은 한번에 300염기를 읽을 수 있어 본격적인 게놈해독 시대를 열었다. 생어 그룹은 이 방법으로 1978년 φX174의 게놈을 완전하게 해독했고, 1981년에는 염기 1만6569개로 이뤄진 ...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동아사이언스 l2013.11.04
- 하면서 좀 더 빠르고 효율적인 게놈분석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었다. 병렬DNA염기서열분석법을 도입한 454의 성능을 과시하기 위해 로스버그는 제임스 왓슨의 게놈해독을 제안했고 왓슨이 쾌히 승낙하면서 2007년 ‘불과’ 수십억 원의 비용(2003년 완성된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약 3조원이 들었다! ...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동아사이언스 l2013.09.23
- 표범, 재규어, 사자)과 치타, 퓨마다. 이 가운데 구름표범(clouded leopard)이 낯설다. DNA서열을 바탕으로 구성한 고양잇과 동물의 계통수로 38종 가운데 빅캣 8종만 표시했다. 빨간색 숫자는 분기된 시점(단위는 만 년 전)으로 통계적 평균값이다. 2006년 ‘사이언스’에 나온 표를 단순화했다. - 강석기 ... ...
- 안정성과 유전정보의 다양성 돕는 재조합 기전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3.08.27
- * 상동재조합 : 절단된 DNA 두 가닥 중 한 가닥이 반대편 상동염색체로 침투해 상보적인 서열을 찾아 접합하여 염기를 이어가면서 재조합된 유전자를 만드는 과정 절단부위를 메우기 위해 상보적인 염기를 이어나갈 때 주형가닥을 선택하는 역할을 서로 다른 단백질이 한다는 것이다. 인간을 ... ...
- 헨리에타 랙스, 죽고 나서야 전 세계를 여행한 여인 동아사이언스 l2013.08.26
- 구성 엉망 끝으로 ‘네이처’에 실린 논문을 잠깐 소개하면, 헬라세포의 게놈 염기서열과 유전자 발현양상에 대해 분석한 내용이다. 먼저 헬라세포 역시 암세포 게놈의 특징인 이수성(aneuploidy)과 이형접합성상실(loss-of-heterozygosity)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수성이란 염색체의 개수가 일정하지 않은 ... ...
이전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