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금속공예품, 중국도자기 등이 함께 발굴됐어요.어촌민속실에서는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의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자산어보는 우리나라 해양 생물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선박사실에서 우리나라 전통 배인 ‘한선’의 역사를 살펴보고, ... ...
- 낙지 VS 주꾸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다리가 달려 있어, 언뜻 보면 낙지와 헷갈리기 쉬워요. 하지만 주꾸미는 몸 전체 길이가 약 15~25cm로 낙지보다 훨씬 작답니다. 주꾸미는 다리 길이가 몸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해요. 여덟 개의 다리는 모두 비슷한 길이와 굵기를 가졌지요. 또 자세히 보면 매끈한 피부의 낙지와 달리, 몸 전체에 아주 ... ...
- 도시가스로 발전하는 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물질을 새로 만들었어요. 시험 사용 결과, PBMO로 만든 전지는 도시가스를 연료로 쓰면서 약 500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했어요. 김건태 교수는 “가스관에 이 전지를 설치하면 전기요금을 줄이는 것은 물론 여름철 정전에도 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생체 센서? 이젠 몸에 붙여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찐득거려서 심하게 움직이더라도 몸에서 떨어지지 않아요. 미끌미끌한 쥐 심장에도 약 3시간 동안이나 붙어 있으면서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었지요.연구팀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즉, 페트병에 쓰이는 플라스틱으로 두께 1.4㎛(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m)의 아주 얇은 필름을 만들어 그 안에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난 부분부터 눈썹까지와 눈썹에서 콧방울까지, 콧방울에서 턱 끝까지의 비율이 약 1: 1:0.8이면 어려 보이지요. 반면 턱이 길거나 각이 진 얼굴은 나이 들어 보인다고 해요.정말 아름다운 턱은 ‘건강한 턱’턱이 갸름해서 얼굴이 예뻐 보이는 것도 좋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턱이 그 기능을 제대로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놀라울 정도로 족보 데이터와 잘 들어맞았다.마지막으로 연구팀은 족보 데이터를 이용해 약 500년 동안 인구 변화와 성씨 수 변화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러자 미래는 물론 족보 정보가 없는 과거까지 성씨에 관한 정보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서기 500년 무렵 우리나라에는 150개 정도의 ... ...
- PART 2. 빙하동물의 천국, 매머드 스텝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산림한계선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거의 북쪽 끝을 지나 고 있다. 하지만 최후빙하전성기(약 2만 5000~1만5000년 전) 때에는 스페인과 이탈리아, 그리스 등 남부유럽 이남만 겨 우 나무가 자랄 수 있었다. 북미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현재는 캐나다 최북단의 툰드라 지역을 제외하면 나무가 살 수 있 지만,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단단한 스쿠트(scute, 등껍데기)형태로 된 구조가 1800개가 넘었다. 스쿠트 한 개의 두께는 약 2.5cm 정도로 매우 견고했다. 꼬리도 스쿠트로 덮여 있어서 천적들과 싸울 때 무기가 됐다.마지막 동물은 기이한 새다. 아마도 이렇게 큰 새가 지구에 실제로 존재했다고 믿는 사람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40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패킷의 내용물, 출발지와 목적지를 공개키 방식으로 암호화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만약 정보기관이 모든 라우터를 장악하 고 있다면, 속에 든 내용물은 알 수 없어도 정보가 어디서 어디로 갔는 지는 알 수 있다. 그래서 토르는 라 우터의 주소를 암호화하고, 가장 빠른 길 대신 무작위 경로를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따라 대칭적이지 않고 특정 지역에서 약하지요. 특히 브라질 남쪽 지역은 자기장이 약해 우주의 고에너지 입자가 지표면 근처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이를 ‘남대서양특이현상(SAA)’이라고 부릅니다.반 앨런대를 최초로 발견한 이후 미국은 야심 차게 반 앨런대 전용 탐사 위성을 기획했습니다. 바로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