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IDTechEx)에 따르면, 전세계 에너지 하베스팅 시장규모가 2020년에 43억7000만 달러(한화 약 4조7294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언급한 일본 음력발전사의 압전블록은 2010년 실제로 신 에노시마 수족관에 도입됐다. 이스라엘의 이노베이트테크사는 압전소자를 도로와 철도, 공항활주로에 설치해 ... ...
- Part 1. 우롱이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쓰레기를 먹어치운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이 양은 비둘기 한 마리가 1년에 먹는 양의 약 1.5배다. 특히 공원보다 거리에 둔 음식물이 빨리 사라졌는데, 음식물을 좋아하는 ‘도로개미’가 거리에 많이 살기 때문이라고 한다.사회 뉴페이스 등장? 갈대밭의 삵!한강 갈대밭에 ‘커다란 고양이’가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전세계적으로 꿀벌 수가 40~45% 줄어서 문제가 되고 있어요. 우리나라 토종벌도 2010년에 약 75~80%가 사라졌답니다. 꿀벌을 죽이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퍼지고, 꿀벌이 꿀을 빠는 ‘밀원식물’이 줄어들었기 때문이지요.자생종 식물의 꽃은 꿀벌이 아주 좋아하는 밀원식물이랍니다. 우리가 ...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소용없다? 지금 서울시에 살고 있는 길고양이 수는 약 25만 마리래. 서울시 인구가 약 1000만 명이니, 4인 가족 하나 당 고양이 1마리가 살고 있는 셈이지. 수가 늘어난 탓에 아무래도 사람들과의 마찰이 생길 수밖에 없어. 길고양이는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 봉투를 뜯어 위생 문제를 일으키거나, ... ...
- PART 5. 중력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운이 좋으면 5년 이내에 중력파 최초 검출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우리나라에도 약 20여 명으로 구성된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있다. 2009년 9월 라이고과학협력단의 검출기에서 나온 데이터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하는 연구에 참여해왔다. 아울러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에 대한 실험도 ... ...
- Epilogue. 태양광 유인항공기 3월 세계일주 도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불안정하다 보니 태양광 비행기는 대부분 종이비행기처럼 내구성이 약하다. 2001년 고도 약 30km까지 올라가며 비로켓 추진 비행기로는 가장 높이 비행한 기록을 세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광 무인기 ‘헬리오스’는 결국 2006년 6월 26일 하와이 인근 바다에 추락하고 말았다. 이 때문에 솔라 ... ...
- [과학뉴스] 전세계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26만9000t!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현재 전세계 바다에 떠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6월 스페인 연구팀이 추정한 양(약 4만t)보다 6~7배 많다. 에릭센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현재 바다 표면에 떠 있는 플라스틱만을 추정한 것일 뿐”이라며 “어류가 삼킨 훨씬 많은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화석수집가 로버트 딕(1811~1866년)의 이름을 땄다). 판피어에 속하는 물고기로, 약 3억8500만 년 전에 살았습니다. 이를 분석한 결과, 우리는 판피어가 큰 뼈로 된 L자 모양의 성기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됐지요. 이를 배설과 생식 기능을 겸하는 암컷의 구멍(총배설강) 속으로 삽입해 정자를 ... ...
- 귀여움이 생존전략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두뇌가 약 25% 정도만 발달된 채로 태어나요. 심각한 미숙아인 셈이에요. 지금으로부터 약 600만 년 전, 인간은 침팬지와의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진 이후 두 발로 걷는 ‘직립보행’과, 두뇌가 점점 커지는 ‘대뇌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화했어요. 직립보행을 하기 위해서 인간의 두 다리는 몸의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다음과 같이 허니버터칩의 ‘인기 밀도’를 정의해보자.11월 한 달 동안 허니버터칩은 약 80억 원 어치가 팔렸다. 한 달 동안 최대로 만들 수 있는 양(약 60억 원)을 넘어서는 수치다. 허니버터칩을 사고 싶어하는 사람이 팔리고 있는 개수보다 커지면서 ‘인기 밀도’는 점점 높아졌다. 도로 위의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