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자기를 지구자기 혹은 지자기라 한다 이 지자기는 어떤 한 지점에서 측정하면 항상
조금
씩 변화하는데 때로는 돌발적으로 두드러진 변동을 보이는 수도 있다 그 원인은 태양의 흑점 부근에 많이 발생하는 폭발현상 때문이다 이 현상을 자기폭풍이라 한다6백50℃ 이상의 고온에서도 장시간 그 형상을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요즘은 농촌에서 찾아볼 수 없는 쇠똥구리도 관찰할 수 있다. 쇠똥구리가 낳은 알을
조금
덜어내면 일정한 수까지 계속 알을 낳는다. 이를 성충이 될 때까지 보호해 사육한다. 쇠똥을 넣어주면 쇠똥구리는 공 모양으로 만들어 그 안에 알을 낳는다. 알은 쇠똥 안에서 부화해 이를 먹고 애벌레,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총알보다 빨라 혜성 탐사는 매우 위험했다. 단주기 혜성조차 태양에 접근할 때면 궤도가
조금
씩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방향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1986년 옛 소련의 우주전 베가 1호와 2호가 핼리혜성의 핵으로 처음 접근했다. 이들은 혜성에 8889km까지 접근해 사진을 찍었지만 사진은 뿌옇기만 했다. ... ...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그녀가 먼발치에서 다가온다, 골목길에서 난폭하게 짖어대는 개와 딱 마주친다,
조금
있으면 드디어 시험결과가 발표된다…. 이럴 때 사람들은 비슷한 경험을 한다. 침이 바싹바싹 마른다, 숨이 가빠진다, 심장박동이 빨라진다….이는 자율신경계의 일부인 교감신경계의 작동으로 이뤄지는 일련의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마데이라섬은‘영원한 봄의 섬’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아프리카 모로코 해안에서
조금
떨어져있는 마데이 화산은 섬 안 봉우리들을 계곡을 따라 길게 흘려 놓았다. 곳곳에는 경사가 급한 절벽들이 많으며 이들과 조화를 이루는 거대 폭포들이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섬의 해안선을 따라 가면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양고기즙을 플라스크의 유리를 녹여 완전히 밀폐시켰을 때는 미생물이 생기지 않았지만
조금
끓여 마개를 느슨하게 막았을 때는 미생물이 발생했기 때문이다.스팔란차니는 생물은 생물에서만 발생하며, 잠깐 끓이는 것으로는 죽지 않는 미생물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니덤은 스팔란차니가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배수종이라고 한다열전자의 방출에서 양극전위를 높이면 전류가 완전히 포화되지 않고
조금
씩 증가하는 현상 1915년 W숏키가 발견했다 금속을 가열했을 때 표면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열전자라 하는데, 진공관의 경우 음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이 열전자는 양극으로 끌린다 이 때 양극의 전압이 높으면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하지만 타자기를 제작하고 작동 실험을 하면서 자판 배열에 문제가 있음이 발견됐다.
조금
만 빨리 자판을 쳐도 철자 막대들이 서로 뒤엉키곤 했던 것이다. 이에 숄즈는 T나 H처럼 함께 자주 쓰이는 철자들을 서로 띄어 놓으면 뒤엉킴이 덜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자주 쓰이는 철자쌍을 연구해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500기압이 넘는다. 손톱 위에 작은 승용차를 올려놓는 압력이 바다생물을 짓누른다.
조금
도 견디지 못할 것 같은 극한 환경에서 심해 생물은 자신들의 삶을 즐긴다.“심해 바닥에서 고래의 턱뼈를 하나 봤습니다. 사실 심해에 떨어진 고래 시체는 이곳 생물들에게는 축제나 마찬가지죠. 로봇팔로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 다음에 PVA 풀 약 40g을 다른 컵에 담아 젓가락으로 저으면서 만들어 놓은 붕사 용액을
조금
씩 섞어. 그러면 두 물질이 결합해서 젤리처럼 굳어지는 것을 볼 수있을 거야. 그것을 꺼내 오랫동안 주물러서 동그랗게 빚으면‘고탄력 탱탱볼’이 완성되는 거지. 이지영 친구도 이런 방법으로 탱탱볼을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