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중요해. 무게중심을 잘 잡아서 올리면 좀 더 안정적으로 설 수 있다구. 오오∼,
조금
만 더 하면 성공할 수 있겠는걸. 와! 레오, 기뻐해! 드디어‘어린이 과학동아’다섯 권을 빨대 위에 올려놓는 데 성공했어.처음엔 머리만 긁적긁적, 마음처럼 튼튼한 구조물이 만들어지지 않았어. 한 권조차 올리기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들려주고 피험자들이 두 발음을 구분할 수 있는지 알아봤다. 희한하게도 자르는 부분을
조금
씩 뒤로 옮겨 점점 완전한 단어의 발음을 들려줄수록 두 발음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단어의 발음을 인지하려면 뇌에 기억돼 있는 모국어의 소리체계로 분류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말에는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된다. 같이 놀기 위해 소리를 따라하는 경우다.험프백 고래는 소리를 흉내 내는 목적이
조금
다르다. 노드 교수는 고래의 노래 따라하기를 “인도양에서 태평양으로 물 건너온 외국 가수의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과 같은 현상”이라고 비유했다. 대중을 파고드는 유행가처럼 노래 자체가 고래를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장은 없는 정도다. 낮 최고 기온은 36℃에서 40℃를 오르내려 우리나라 여름날씨보다는
조금
더 더운 편이지만 일교차가 커서 밤과 새벽에는 제법 추위가 느껴진다. 시도 때도 없이 불어 닥친 흙먼지는 가을로 접어들면서 상당히 잦아들었다. 지금까지 ‘실전’을 대비해온 롭해즈가 오랜만에 ... ...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학생들에게 보충 수업을 하고 있지만 첫 시험 결과 미적분을 잘 하는 집단과 차이가
조금
밖에 좁혀지지 않아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이공계 수준의 수학 실력이 필요한 경제, 경영학과에서도 미적분은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다. 서울대 수학과 최형규 교수는 “몇 년 전과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근거를 제시했고 호킹은 불랙홀에서 빛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박 박사는 “
조금
어렵지만 끈기를 갖고 보면 블랙홀에 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다”고 자신했다.그는 요즘 ‘어린이과학동아’에 만화도 그린다. 우주신령, 은하신령, 지구신령이 등장해 별과 우주에 대한 이야기를 구수하게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체의 부피가 늘어나면 압력은 줄어드는 것일까?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 보일은
조금
다른 실험 장치를 고안했다.그는 백조의 날개 깃대 굵기 정도 되는 가는 유리관을 준비했다. 그리고 유리관에 종이를 붙여 1인치 단위로 표시했다. 그런 다음 유리관에 1인치 가량의 공기를 넣은 채 밀랍으로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람의 그림자가 빠져 있다. 정답은 4번두 번째 문제의 답그림자의 모양들이 비슷해서
조금
은 헷갈리지만 작은 부분들을 꼼꼼히 관찰해 보면 정답을 찾아 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의 답 자기가 직접 손으로 모양을 만들어 보자. 정답은 다음 그림과 같다. 네 번째 문제의 답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없는 기억은 서술기억에 해당한다.예를 들어 H.M.에게 농담을 하면 재미있어하며 웃었다.
조금
뒤에 다시 그 농담을 하면 그는 마치 새로운 내용을 듣는 양 웃었다. 그 뒤 또 같은 농담을 해도 여전히 마찬가지 반응을 보이는 것이었다. 정상인이라면 아무리 재미있는 얘기도 여러 번 들으면 싫증나는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주돛단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바람에 밀려 돛단배가 가듯 태양풍을 받아 소행성이
조금
씩 지구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다른 방법은 소행성에 추진 로켓을 다는 것이다. 소행성을 마치 돌로 된 우주선처럼 만들어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꾼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표면에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