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되지 않는다. 반영구적 보존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일반 사진은 필름이
조금
만 손상되면 다시 복원하기가 어려운데 반해, 홀로그램은 원판필름이 작은 조각만이라도 남아있으면 전체 사진을 다시 복원해낼 수 있다. 일반 사진이 빛의 강약을 필름 각 부분에 기록하는 것과 달리 ... ...
식인종가족의 강 건너기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아들이 건너갔다고 하자.이번에 강을 건너와야 하는 것은 조련사와 개일 수밖에 없고,
조금
만 생각해 보면 다음으로 강을 건널 수 있는 조합은 아빠가 남은 아들을 데리고 가는 것뿐이다.다시 아빠가 건너오고 아빠와 엄마가 함께 건넌 다음 다시 엄마 혼자 되돌아온다. 많은 사람들이 여기서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람의 그림자가 빠져 있다. 정답은 4번두 번째 문제의 답그림자의 모양들이 비슷해서
조금
은 헷갈리지만 작은 부분들을 꼼꼼히 관찰해 보면 정답을 찾아 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의 답 자기가 직접 손으로 모양을 만들어 보자. 정답은 다음 그림과 같다. 네 번째 문제의 답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새로운 사실을 기억하는 능력은
조금
씩 떨어진다. 최근 신경과학자들은 이 같은 기억력의 변화를 신경전달이 일어나는 장소인 ‘시냅스’의 변화로 설명하고 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접점으로 상황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한다. 약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주돛단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바람에 밀려 돛단배가 가듯 태양풍을 받아 소행성이
조금
씩 지구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다른 방법은 소행성에 추진 로켓을 다는 것이다. 소행성을 마치 돌로 된 우주선처럼 만들어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꾼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표면에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 없었다. 벌써 두 번째 시도다. 이번에도 실패하고 말 것인가.남극점이 바로 저기다.
조금
만 더 가 보자. 하지만 착륙하라는 안 박사의 외침이 아직도 귓전에 생생하다. 빙하에 가까이 갈수록 얼음 폭풍은 거세지고, 반디는 착빙을 견디지 못해 고도를 잃고 추락한다.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남극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보면 가능한데, 3차원적으로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도형이다. 가현운동이란 영화처럼
조금
씩 정지한 영상을 연달아 제시하면 연속적인 운동으로 보이는 현상을 가리키고, 음영대비에 의한 착시란 주위 밝기에 따라 중앙 부분의 밝기가 반대 방향으로 치우쳐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요구나 태도에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없는 기억은 서술기억에 해당한다.예를 들어 H.M.에게 농담을 하면 재미있어하며 웃었다.
조금
뒤에 다시 그 농담을 하면 그는 마치 새로운 내용을 듣는 양 웃었다. 그 뒤 또 같은 농담을 해도 여전히 마찬가지 반응을 보이는 것이었다. 정상인이라면 아무리 재미있는 얘기도 여러 번 들으면 싫증나는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런 환경에서 안정하게 자랄 수 있는데 이를 보고 ‘백화’라고 하는 것 같다”면서 “
조금
만 옆을 보면 무성한 해조숲을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특히 백화 여부를 판단할 때는 계절적인 요인도 중요하다. 여름철에 대형 태풍이 한번 불어 닥치면 암반에 붙어있는 해조류가 모두 뜯겨나가 암반이 ... ...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최근 우리나라도 단순한 보호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생태계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조금
씩 바꿔 나가고 있다. 인터넷으로 산불을 예방한다산불은 진화나 복원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03년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응용해 웹기반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전국 7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