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상현 교수는 "그렇다"고 말한다.모나리자의 얼굴은 코를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 입이
조금
씩 다르다. 보는 사람 입장에서 왼쪽 입은 일직선으로 다물고 있어 무표정하다. 오른쪽 입은 입 꼬리가 약간 올라가 웃는 표정이다. 사람은 흔히 화면의 왼쪽 얼굴을 중심으로 전체 표정을 인식한다.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체의 부피가 늘어나면 압력은 줄어드는 것일까?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 보일은
조금
다른 실험 장치를 고안했다.그는 백조의 날개 깃대 굵기 정도 되는 가는 유리관을 준비했다. 그리고 유리관에 종이를 붙여 1인치 단위로 표시했다. 그런 다음 유리관에 1인치 가량의 공기를 넣은 채 밀랍으로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오는 2006년 하반기부터는 6가지 유해물질이
조금
이라도 들어있는 전자제품은 판매를 전면 금지할 예정이다. 브롬 난연제를 넣은 전자제품은 유럽시장 수출이 사실상 막히게 되는 셈.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전자제품에 브롬 난연제 성분이 얼마나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뇌 손상 이후 일어난 일들은 불과 몇 분에서 몇 시간이 지나면 의식에서 사라진다.
조금
전에 만났던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고 하루 전에 들었던 뉴스도 기억하지 못한다. 뇌 손상 후 몇십년이 지나 거울에 비친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기도 한다. 물론 그 충격 역시 금방 의식에서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입맛이 없다고 고추장에 밥을 비벼먹다 보면 나도 모르게 ‘많이’ 먹고 있지 않던가.04_
조금
먹어도 많이 먹은 듯 양파지난 3월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기능성연구팀은 양파에 들어있는 식물화합물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가 체내에서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춰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때 화성은 이미 저 멀리 달아나고 없다. 지구는 그 화성을 쫓아가야 한다. 결국, 화성보다
조금
더 빠른 지구가 따라잡게 되는데 그 시간은 무려 2년 2개월이나 걸린다. 즉, 외행성일 경우 회합주기는 지구에 가까운 행성일수록 오래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목성의 회합주기는 토성보다는 길고,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5년 이상의 장기간이고 연속적인 관측자료가 확보된 곳은 몇몇에 불과한 실정이다.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은 ‘http://www-eosdis.ornl.gov/ FLUXNET/’에서 알 수 있다. 장기간 숲 연구 필요숲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해마다 크게 다르다. 같은 숲이라도 어떤 해에는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일 수 있고, 다른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때 속도를 줄여 발과 지면 사이의 충격량을 줄여준다. 쿠션이 너무 많이 압축되거나 너무
조금
압축돼도 발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져 무릎에 부담을 준다. 그간 발 모양이나 길이, 달리는 장소와 뛰는 자세 등을 각각 고려한 ‘맞춤형 운동화’가 개발됐다. 만약 꿈의 운동화가 개발된다면 맞춤형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확인할 수 있다.무거운 공을 부드러운 쿠션 위에 떨어뜨릴 때 공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조금
씩 높여보자. 떨어뜨리는 높이를 높일수록 떨어지는 시간이 길어지고 쿠션에 남는 자국도 깊어진다. 하지만 떨어지는 물체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아주 어렵다. 그래서 평평한 판을 벽에 비스듬히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개발되기도 했다. 지뢰밭을 찾아내는 식물이 대표적 예다. 지뢰에서 이산화탄소가
조금
씩 유출되면 이에 반응해 잎의 색이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호주 멜버른대 앨런 베이커 교수에 의하면 중금속을 저장하는 능력이 있는 식물이 세계적으로 440종이 넘는다고 한다. 지난해 집계를 보면 약 10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