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쾌적한 환경은 자원화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뿐만 아니라 모두가 불편함을
조금
씩 감수할 때 누릴 수 있을 것이다.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걸림돌 ‘소금기’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이용할 때는 음식물 속 염분이 골칫거리다. 비닐하우스 안에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를 뿌렸다고 하자. 햇빛이 ... ...
자동변속기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재빨리 클러치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를 바꿔줘야 하기 때문이다. 운전자의 조작이
조금
만 서툴러도 차는 금새 길한복판에 멈춰선다. 이제는 거의 모든 차에 변속 조작이 필요없는 자동변속기가 탑재되고 있다. 운전을 한결 편리하게 해주는 자동변속기의 원리를 살펴봤다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박물관에서 나온 가이드 아저씨는 같은 종류의 얼룩말이나 기린도 사는 곳에 따라
조금
씩 무늬나 색깔이 다르대. 각각 다른 환경에 적응해 진화한 것이라고 하는데 좀 어렵더라.넙치와 가오리의 차이가 뭔지 아니? 두 바다물고기 모두 납작하지만 넙치는 눈이 한쪽으로 쏠렸고 가오리는 두 눈이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라부아지에가 어떻게 생각했든 이 이름은
조금
성급한 감이 없지 않다. ‘산소’라는 이름이 등장하고 40년은 더 지나야 사람들이 산의 성질을 제대로 이해했기 때문이다.라부아지에의 산소 발견 실험은 그가 연소의 원리를 밝히기 위해 노력한 과정에서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조합을 찾아낸 결과다. 한편 동일한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도 생물의 종류에 따라 구조가
조금
씩 다르다. 시베리아 동토에 사는 미생물과 100℃에 가까운 온천에 사는 미생물은 각각의 서식 환경에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효소를 진화시켰다.그런데 자연이 영겁의 세월을 거쳐 이뤄낸 진화를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천의 남극을 잇는 큰 원둘레 또한 적경 8시30분, 즉 127.5°다. 아마 태양은 동쪽하늘에서
조금
높이 떠 있을 터인데 태양이 있는 곳을 지나가는 적경은 12시다. 당연히 낮 12시(정확히는 12시 30분)가 되면 태양은 정남에 온다. 하늘의 한반도 지키는 6등성큰 그림에서 본다면, 밤하늘은 지구를 둘러싸고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금속수산화물 등의 졸은 이에 속한다열역학적 평형상태에 있지 않고 전해질을
조금
가하면 쉽게 엉긴다 소아기에 발현하는 당뇨병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으로 일어나는 대사(代謝)의 이상상태(異常狀態)이며 소아당뇨병의 병형 가운데 가장 많은 형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다발병은 급격하며 ... ...
전기의 웰빙선언, 직류로 돌아가자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전원장치에는 변압기가 들어있다. 그런데 변압기는 기기가 전혀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조금
씩 전력이 새어 나가게 돼 있다. 어댑터를 만져보면 따뜻한 것도 이 때문이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원장치에 들어있는 변압기가 전력낭비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한다. 컨버터와 분산발전이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경우 실험이 준비된 후 거의 3~4일 동안 바람이 잠잠한 날을 기다려야 했다. 우리는
조금
나아서 예정된 시간보다 하루 늦게 풍선을 띄어 올릴 수 있었다.12월 15일. 풍선을 띄어 올린 날이다. 그날을 생각하면 영화를 찍는 곳에 온 느낌이 든다. 직접 관련되지 않은 사람들도 이 장면을 보기 위해 윌리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않으나, 신경줄기세포가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로 분화할 때 일반인보다 신경교세포가
조금
더 많이 만들어진 것은 분명하다.그러면 신경줄기세포는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그 비율을 어떻게 일정하게 유지할까. 이는 신경세포의 이기적인 특성 때문이다.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