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샤크 이젠 경창견이라 불러다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청각이 알아챘던 거죠. 그런데 이상하게도 옷이 모두 벗겨진 채로 발견이 되었대요.
조금
만 더 늦었다면 체온이 떨어져서 목숨을 잃었을 수도 있었다고 하더라고요.이렇게 시작된 샤크의 맹활약! 샤크는 소장님과 함께 지낸 1년 반 동안 여러 실종자를 찾아내고, 경찰견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 ...
미적분으로 인격을 닦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일이 좋아 사범대에 진학했다. 이과가 좋았고 그중에서도 수학을 다른 과학 과목보다
조금
더 좋아했다.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미국 일리노이대로 유학을 떠나 수학교육학 박사가 됐다. 흔히 ‘수학은 남자가 더 잘한다’는 통설을 여자인 그는 어떻게 생각할까.“요즘 여학생들이 워낙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정교한 손동작은 타이밍이 매우 중요하다. 혀와 목의 근육이 움직이는 순서와 간격이
조금
만 어긋나도 부정확한 발음이 나오기 때문이다. 3m 떨어진 목표물을 향해 공을 던질 때 공을 놓는 시점이 1000분의 4초만 빠르거나 느려도 위아래로 25cm나 벗어난다.좌뇌와 우뇌의 신경망을 분석한 결과 좌뇌가 ... ...
나도 이젠 애니메이션 감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작은 로켓을 그린다. 다음 장에는 로켓이
조금
올라간 장면, 그 다음 장에는 로켓이
조금
더 올라간 장면을 그린다. 그림을 완성한 후 책을 빠르게 넘기면 마치 로켓이 발사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를 플립북이라고 한다. 만화영화와 클레이 애니메이션은 이런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연속그림을 붙인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증기를
조금
만 가하면 탄소나노튜브가 아주 잘 자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츠쿠바에 위치한 국립고등과학기술연구소 물리학자인 켄지 하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사이언스 11월 19일자에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13년전 탄소나노튜브가 처음 개발된 이래로 탄소나노튜브는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 문제는 아직 과학적으로 논란이 많아 단정하기 어렵다.인종마다 혈액형의 분포는
조금
씩 다르다. 한국인 중 가장 많은 혈액형은 A형으로 모두 34%다. 다음으로O형(28%), B형(27%), AB형(11%) 순서다. 일본인은 A형이 38%로 더 많지만 나머지 혈액형의 순서는 같다. 중국인은 O형이 42%로 가장 많지만 북경 ... ...
자성측정기 MPMS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없다. 오히려 초전도체는 외부 자기장을 바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MPMS에 시료를 넣고
조금
씩 움직여주면 주변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는데 이를 측정해 초전도체 여부를 알아내는 것이다. 액체 질소로 냉각시킨 자석 위에 초전도체를 놓으면 초전도체가 자석 위로 떨어지지 않고 공중에 떠있는 것도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작은 관찰에서도 얼마든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다. 곤충의 능력을 인간이
조금
만 더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면 훨씬 더 신나고 즐거운 세상에서 인간과 곤충이 함께 살 수 있을 것이다.벌레는 평화수호자 종군 벌레에서 환경지킴이 벌레까지 흉측한 모습으로 사람들의 눈살을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뒤로 사라졌다가 이듬해인 1605년 5월 1일에는 새벽 동쪽 하늘에 다시 나타났다. 이때는
조금
어두워져 있었고 다시 1년쯤 뒤에는 맨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빛을 잃어 갔다고 한다.이 별은 발견자의 이름에 따라 ‘케플러 초신성’이라 불린다.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최후를 맞이할 때 폭발하는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무엇일까? 첫번째는 11, 두번째는 32? 아마 그것이 가장 단순한 규칙이겠지만, 상상력을
조금
만 더 발휘해보면 얼마든지 다른 답도 가능하다.우선 첫번째 문제의 답은 12다. 이 수열은 0, 1 … 9를 중복되지 않게 사용해 만들 수 있는 수들을 크기 순서로 늘어놓은 것이다. 이후로 13부터 21까지 차례로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