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어린 아이들을 보면 귀엽고 순수해 보인다는 생각을 한다. 동시에 둔하고 어수룩한,
조금
은 멍청해 보인다는 느낌 또한 갖는다. 벙어리장갑은 그 이름처럼 벙어리를 닮았다. 그 누가 뭐라 해도 아무 말 없이 얌전히 있을 수밖에 없는 힘없는 벙어리를 닮았다. 나의 뜻에 대항하고 반박할 수단을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무엇일까? 첫번째는 11, 두번째는 32? 아마 그것이 가장 단순한 규칙이겠지만, 상상력을
조금
만 더 발휘해보면 얼마든지 다른 답도 가능하다.우선 첫번째 문제의 답은 12다. 이 수열은 0, 1 … 9를 중복되지 않게 사용해 만들 수 있는 수들을 크기 순서로 늘어놓은 것이다. 이후로 13부터 21까지 차례로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뒤로 사라졌다가 이듬해인 1605년 5월 1일에는 새벽 동쪽 하늘에 다시 나타났다. 이때는
조금
어두워져 있었고 다시 1년쯤 뒤에는 맨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빛을 잃어 갔다고 한다.이 별은 발견자의 이름에 따라 ‘케플러 초신성’이라 불린다.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최후를 맞이할 때 폭발하는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떨어져 있어 쌍안경에서 이 세 대상을 함께 볼 수 있다. 5일에 비해 두 행성 간 거리는
조금
더 멀지만, 달과 어우러진 모습이 환상적이다.행성의 만남은 12월에도 한차례 발생한다. 다만 그 대상이 목성이 아니라 다소 어두운 화성으로 바뀐다. 바로 12월 6일 금성과 화성이 약 1° 범위까지 접근하는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설치된다. 대개 3kW급 발전기가 설치되는데 각 가정이 실제 부담하는 비용은 1천만원을
조금
넘는다.정부는 2011년까지 10만 가구에 태양광발전기를 설치하고 상업·산업용으로 7만 개를 보급해 전국을 거대한 태양발전소로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1년까지 2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차량의 움직임은 제자리에서
조금
씩 왔다갔다하는 고체상태와 비슷하다. 이때 차량들이
조금
씩 앞으로 움직이면서 정체 지점이 마치 계속해서 뒤로 옮겨가는 것처럼 보이는 특징이 있다. 관측 결과 정체 지점이 뒤로 옮겨가는 속도는 시간당 15-18km 정도로 일정하다고 한다.그런데 정체상태와 차량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초기에 더 많이 만들어졌다. 한편 같은 집단에 속하는 3종 사이에도 BMP4의 발현 패턴이
조금
씩 달라 부리 형태의 미묘한 차이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국 새로운 형태의 부리는 새로운 유전자가 생겨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유전자의 발현 시기와 양의 변화로 나타난 것이다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팔지 않아도 됐을 것이다. 전선은 문명의 발전에 있어 핏줄과도 같은 역할을 했다.그런데
조금
더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 우리 주위 곳곳을 시커멓게 휘감고 있는 전선의 존재가 섬뜩하게 느껴질 것 같다. 전선은 신문명이 인류에게 안겨준 개목걸이 같은 존재인 것이다. 전선과 함께 발전에 발전을 ... ...
여성이어서 지워지고, 다시 기억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너무 바쁘다’ 고 했던 삶을 담담히 그리고 있다.여러 사람들의 지적처럼 프랭클린이
조금
더 오래 살았다고 해서 이중나선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었을지, 또 왓슨과 크릭과 윌킨스를 제치고 노벨상을 탈 수 있었을지는 알 수 없다. 그리고 이 사건은 벌써 반세기 이전의 일이다. 하지만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사람은 머리를 흔들어도 초점이 흔들리지 않지만 카메라는
조금
만 흔들려도 상이 흐릿해진다. 인간에게는 고통이 로봇에게는 편안함이고 거꾸로도 마찬가지다.“별 짓 다 해봤습니다. 사람 손을 묶어놓고 걷게 해 발 움직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도 했습니다. 3년 동안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