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빛의 양을 가감한다. 망막 바로 뒤에 있는 수정체는 두께를 수시로 변화시키면서 초점을
조절
한다. 이렇게 들어온 빛은 망막에 상이 돼 맺히고, 망막세포가 자극을 받아 생체 전기신호를 만든다. 그리고 이 신호가 뇌로 전달돼 들어가야 비로소 사람이 사물을 볼 수 있다. 현대 의학기술의 발달로 ... ...
배부른데 살 빠지는 ‘진짜’ 다이어트약 개발
2015.01.06
FXR)는 섭취한 음식물을 통해 자극을 받으면 소화를 돕기 위해 담즙을 분비하고 혈당을
조절
하며 지방을 연소하는 과정에 관여한다. 이런 기능 때문에 이전부터 여러 제약회사에서는 다이어트 약을 만들 목적으로 담즙 수용체를 자극하는 약을 개발하려 했지만 소화기관 외에도 다양한 장기에서 ... ...
웨어러블 + 선풍기… 세계 가전업계 사물인터넷 ‘자존심 대결’
동아일보
l
2015.01.05
판매하고 있다. 미국 빅애스팬은 온·습도계를 내장해 환경에 따라 날개 속도를 자동
조절
하는 선풍기를 만든다. 무관해 보이는 두 제품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만나 새로운 서비스로 재탄생했다. 조본 손목밴드로 측정한 사람의 수면 상태가 빅애스팬 선풍기에 전송돼 최적의 수면 환경을 만드는 ... ...
겨울방학, 우리 아이 뇌 발달 위해 가장 좋은 교육은?
2014.12.30
감소한다. 연구팀은 악기를 배울 때 손가락이나 팔의 동작을 규칙에 따라 미세하게
조절
해야 하는데, 이런 행동이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측하고 있다. 또 악기를 배울 때 같이 배우는 음악 지식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제임스 허드지악 교수는 “악기 연주와 뇌 발달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homeobox)’라고 명명된 이 부분은 표적이 되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에 달라붙어 발현을
조절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초파리는 호메오유전자 8개가 3번 염색체에 나란히 배열돼 있는데 놀랍게도 초파리 배아가 발생할 때 발현되는 공간적 순서와 일치한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는 여전히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밝혔다. 옥신은 식물의 뿌리와 줄기를 자라게 하고 열매를 맺게 하는 등 식물의 생장을
조절
하는 대표적인 호르몬이다. 옥신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억제인자(Aux/IAA17)를 제거하면 생장촉진 유전자가 발현되는 식이다. 과학자들은 옥신이 전사억제인자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고 ... ...
피부세포로 정자와 난자 만들면, 뭐가 좋아질까요
2014.12.28
이전까지 시원생식세포를 만들기 어려웠던 까닭은 시원생식세포 형성에 관여하는
조절
인자를 몰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SOX17’이라는 유전자가 인간 시원생식세포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SOX17은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시원생식세포를 만드는 데 관여하지 ... ...
심근세포 운명 좌지우지하는, 너는 누구냐
2014.12.25
운명을 결정하는 기작을 규명했다”면서 “이를 통해 심근세포의 운명을
조절
할 수 있게 되면 심부전, 심근경색 등 다양한 심장질환 치료와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7일자에 게재됐다.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반짝이는 ‘눈’~ ♬
과학동아
l
2014.12.23
눈에서 계절에 따른 색깔 변화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며 “순록은 반사판을
조절
하는 능력을 통해 빛의 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겨울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며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B’ 2013년 10월 30일자에 실렸다. ... ...
‘궁극의 디스플레이’ 단점, 기술로 극~복~
2014.12.22
떨어뜨리는 원인을 찾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 양자점을 둘러싼 껍질층(shell)의 크기를
조절
해 다양한 두께를 가진 양자점을 만들고 전하량에 따라 양자점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양자점 사이에 생기는 에너지 전달 현상 때문에 양자점 발광소자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